빚 갚는 중년 지나니 가난한 노년… 65세 이상 절반이 ‘빈곤’

빚 갚는 중년 지나니 가난한 노년… 65세 이상 절반이 ‘빈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12-20 21:18
업데이트 2016-12-2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섯 가구 중 한 가구는 ‘빈곤층’…56.6% “노후 준비 제대로 안 돼”

상위 20%가 전체 자산 절반 차지

우리나라 여섯 집 중에 한 집은 ‘빈곤층’에 해당한다.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를 제대로 못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노인가구(가구주 나이 65세 이상)는 절반 정도가 빈곤층인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통계청 등이 내놓은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빈곤율은 16.0%로, 전년보다 0.3% 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율은 중위소득(지난해 1188만원)의 50% 미만인 가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노인층의 빈곤율은 46.9%로 나타났다. 66세 이상의 은퇴 연령층에서는 48.1%에 달했다. 노인층 빈곤율이 고공행진을 이어 가는 것은 노후 준비가 여의치 않아서다. 가구주가 아직 은퇴하지 않은 집들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 상황을 조사한 결과 ‘아주 잘 돼 있다’(1.3%), ‘잘 돼 있다’(7.5%) 등 긍정적 답변은 8.8%에 그쳤다. 반면 ‘잘 돼 있지 않다’(37.3%)와 ‘전혀 돼 있지 않다’(19.3%) 등 부정적 응답이 56.6%로 지난해보다 1.2% 포인트 높았다. ‘전혀 돼 있지 않다’는 응답도 전년보다 1.9% 포인트 상승했다.

또 가구주들이 예상하는 은퇴 연령은 66.9세지만, 실제 은퇴는 평균 61.9세에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예상보다 빠른 은퇴에 제대로 준비가 안 돼 있는 가구가 많다 보니 노인층 빈곤율이 높은 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직업 유형별로 자영업자의 상황이 특히 나빠졌다. 지난해 자영업자 가구의 빈곤율은 12.9%로 2014년(12.3%)보다 0.6% 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상용근로자(4.4%→4.1%)와 임시·일용근로자(24.7%→21.8%)는 빈곤율이 떨어졌다.

빈부차도 심해졌다. 소득 상위 20% 가구(5분위)가 보유한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이전 조사 때보다 0.2% 포인트 오른 44.7%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5분의1이 자산의 절반 가까이를 갖고 있다는 얘기다. 4분위 가구의 점유율도 0.2% 포인트 오른 22.1%로 집계됐다. 반면 소득 하위 20%(1분위)의 보유 자산은 6.7%로 지난해보다 0.2% 포인트 낮아졌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12-21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