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공요금 잘 내면 신용등급 오른다더니 100명 중 9명만 상승

통신·공공요금 잘 내면 신용등급 오른다더니 100명 중 9명만 상승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12-21 22:38
업데이트 2016-12-21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신비와 공공요금 등의 납부 실적을 제출해 지난 10개월간 5500여명의 신용등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제출자 수를 고려하면 실제 등급 상승자는 100명 중 9명이 채 안 됐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1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모두 6만 5396명이 통신·공공요금 납부 실적을 개인신용평가회사(CB)에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중 5만 6054명(85.7%)의 신용평점이 상승했지만 신용등급까지 올라간 사람은 전체 제출자의 8.5%(5553명)에 그쳤다.

신용등급이 오른 사람 중에는 7등급에서 6등급으로 상승한 비율이 29.0%로 가장 많았다. 6등급부터는 시중은행 일반 대출심사 등이 가능하다.

금감원은 통신·공공요금을 6개월 이상 성실히 냈다는 증빙자료를 CB사에 제출하면 개인 신용평가 때 가점(5∼15점)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도입 초기 금감원은 최소 212만명에서 최대 708만명이 신용등급 상승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는데, 아직까진 효과가 저조한 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안 돼 그런 것”이라면서 “성실 납부 실적만큼 가점도 누적되는 구조라 시간이 지나면 신용등급이 오르는 사람 수가 꾸준히 늘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12-22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