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이전 수준으로 복귀
원/달러 환율이 1,130원대로 떨어지며 트럼프 당선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는 1,137.9원으로 전거래일보다 9.7원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이 1,130원대로 하락한 건 트럼프 당선 직전일인 지난해 11월 8일(1,135.0원) 이후 약 석 달 만이다.
트럼프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 달러 환율은 종가를 기준으로 지난 1월 9일 1,208.3원까지 상승한 바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9.6원 떨어진 1,138.0원에 거래가 시작됐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 출발한 건 미국의 임금상승률이 부진하면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1월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은 22만7천명(계절조정치)으로 시장 예상치인 17만~19만명을 웃돌았다.
그러나 문제는 고용의 질이었다.
1월 민간부문 시간당 임금은 전월대비 3센트(0.12%) 오른 26달러에 그쳤다. 이는 월가 전망치 0.3%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미국 고용지표와 물가가 미국 금리 인상의 단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시장의 시선은 고용의 양적 규모보다는 질적인 ‘임금’에 방점을 두는 추세다.
민경원 NH선물 연구원은 “임금상승률이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쳐 인플레이션 기대가 약화하면서 강달러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하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달러 강세 분위기가 한풀 꺾인 데 이어 미국의 임금 인상률마저 예상치를 밑돌자 지난주 강보합으로 끝났던 원/달러 환율은 다시 하락세로 내려갔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35.6원에서 1,140.0원 사이를 오갔다. 장중에는 특별한 이벤트가 없어서 변동 폭이 4.4원으로 크진 않았다.
저점 인식에 따른 결제수요(달러화 매수)가 나왔지만 원/달러 환율이 더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물량이 많진 않았다고 시장 관계자들은 전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100엔당 1,011.24원으로 전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3.03원 하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