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안 하면 팀장 리더십에 문제라도? ‘귀여운 압박’으로 저녁 있는 삶 찾았죠

‘퇴근 안 하면 팀장 리더십에 문제라도? ‘귀여운 압박’으로 저녁 있는 삶 찾았죠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02-13 22:26
수정 2017-02-13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선영 롯데홈쇼핑 조직문화혁신팀장 인터뷰

“어머, 아직도 이렇게 퇴근 안 하고 있는 팀이 있네. 이거 팀장 리더십에 문제가 있는 거 아냐?”
이미지 확대
서울 영등포구 롯데홈쇼핑 본사에서 박선영 롯데홈쇼핑 조직문화혁신팀장이 유연근무제·가족사랑데이 등을 설명하고 있다. 롯데홈쇼핑 제공
서울 영등포구 롯데홈쇼핑 본사에서 박선영 롯데홈쇼핑 조직문화혁신팀장이 유연근무제·가족사랑데이 등을 설명하고 있다.
롯데홈쇼핑 제공
지난달 18일 오후 5시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롯데홈쇼핑 본사 사무실을 순찰하던 박선영(42·여) 조직문화혁신팀장이 너스레를 떨며 직원 몇 명이 아직 자리에 남아 있는 부서의 팀장을 타박했다.

해당 팀장이 “분명 정시에 퇴근하라고 말했는데…”라며 머쓱하게 웃자 이어지는 박 팀장의 결정타. “상사가 남아 있으면 팀원들은 눈치 보여서 못 가는 거 몰라? 센스 있게 얼른 먼저 일어나세요.” 매달 셋째 주 수요일 오후 5시에 퇴근하는 날인 ‘홈데이’가 되면 롯데홈쇼핑 본사에서 심심치 않게 펼쳐지는 풍경이다.

●유연근무제·가족사랑 데이 운영

롯데홈쇼핑이 사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지난해 1월 조직문화혁신팀을 신설한 지 1년이 지났다. 박 팀장은 “지난 한 해는 직원들의 닫힌 마음의 문에 ‘인공호흡’하는 시간이었다”고 평했다. 박 팀장을 비롯한 팀원 4명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면담을 통해 각종 혁신 프로그램을 독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근무 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매주 수·금요일은 정시(오후 6시) 퇴근을 독려하는 ‘가족사랑 데이’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혁신팀 중점 과제는 ‘연차 소진’

올해는 ‘눈치 안 보고 연차 소진하기’가 혁신팀의 중점 과제 중 하나다. “임원들부터가 연차를 안 써요. 부하 직원 입장에서는 상사가 안 쉬는데 먼저 쉰다고 하기가 참 부담스럽거든요. 그래서 생각한 게 임원들 강제 휴가 프로젝트죠.” 박 팀장은 각 임원마다 추천 연차 소진일을 지정해 주고 일주일 전부터 카운트다운을 하며 ‘귀여운’ 압박을 가한다. 그는 “임원들도 못 이기는 척 휴가를 쓰면서 ‘덕분에 쉬게 돼서 고마워’라고 좋아한다”고 말했다.

지난 설 연휴 전날에는 한복을 입고 온 사원은 오전에 퇴근시켜 주는 이벤트를 열었다. 처음에는 시큰둥하던 사람들이 점차 마음을 열고 동참하기 시작한 게 가장 큰 성과다. 박 팀장은 “직원들이 회사에 바라는 건 대단한 혜택이 아니라 ‘존중’”이라면서 “올해는 한층 부드러워진 분위기가 매출 인상 등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결과물을 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2-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