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48점 쏟아진 세월호 유류품, 어떻게 돌려주나

하루에 48점 쏟아진 세월호 유류품, 어떻게 돌려주나

입력 2017-04-03 14:34
수정 2017-04-03 14: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척·분류작업 후 목포시가 홈페이지에 습득공고

세월호가 실린 반잠수식 선박 갑판 위에 쌓인 펄을 수거하다 보니 불과 하루 만에 48점의 유류품(유실물)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세월호가 오는 6일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올라오고, 본격적인 수색작업이 시작되면 3년 전 참사 당시 팽목항, 진도군청에 차려진 것과 같은 유류품 보관소가 마련된다.

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전날 펄을 자루에 담는 수작업 중 휴대폰과 넥타이, 스웨터, 필기구, 통장지갑 등 48점의 유류품을 찾아냈다.

이 중에는 이준석 선장의 손가방과 그 안에서 나온 여권·카드·통장도 있다.

해수부는 일단 펄 제거작업 중 나오는 유류품은 발견 시간과 장소, 품명 등 특징을 적어 저장팩에 담는다.

저장팩은 목포신항 철재부두에 마련된 임시 유류품보관소에 보관했다가, 세월호의 육상거치가 완료되면 세척작업을 거쳐 인도 절차를 밟는다.

세월호를 부두에 올리고 나서 발견한 유류품은 세척과 분류, 건조작업을 거쳐 고유번호를 붙이고 물품명과 발견장소, 보관장소, 특징을 적은 목록을 작성한다.

이후 목포시가 마련한 유류품 보관 컨테이너로 넘기고, 발견한 날짜부터 6개월간 목포시 홈페이지를 통해 습득공고를 낸다.

‘수상에서의 수색·구조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실물 관리는 습득한 장소를 관할하는 지자체에서 주도하게 돼 있다.

3년 전 세월호 참사 당시 발견된 유류품들은 진도군이 군청 뒤 컨테이너에 보관하다가 참사 646일만인 2016년 1월 21일 경기도 안산으로 이송됐다.

단원고 교복, 여행용 가방, 신발 등 1천169점이 그때까지 주인을 찾지 못했고, 이 중에는 세월호 이준석 선장의 배낭도 있었다.

당시 4·16가족협의회, 기억저장소, 사진작가, 시민 등 100여명이 진도로 내려와 유류품의 목록을 작성하고 사진을 촬영한 뒤 안산으로 가져갔다.

세월호 인양 후 발견된 유류품들은 소유자가 분명한 경우 당사자가 가족에게 직접 인도하고, 소유자가 불분명한 경우 유류품 전시과 공개, 목포시 홈페이지 공고 등을 거쳐 돌려준다.

만약 끝까지 찾아가는 사람이 없거나 유류품 주인·가족이 돌려받길 원치 않으면 국고에 귀속하거나 소각할 수 있다.

한편 세월호 현장에서 뼛조각이 발견되면 즉시 해경이 검찰에 보고하고, 담당 검사의 지휘를 받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직원과 해경이 현장보전, 채증, 기록하고 뼛조각을 신원확인실로 가져와 검시·검안한 뒤 유전자(DNA)를 채취해 분석한다.

만약 동물이 아닌 미수습자 9명으로 추정되는 유골인 경우 가족 유전자와 대조작업을 거쳐 신원을 확인한다.

3주 정도 걸려 최종적으로 신원이 확인되면 유골을 가족에게 인도하게 된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