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이 대우조선 채무 재조정안 수용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최종 판단을 다음주로 연기했다.
공단 기금운용본부는 6일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대우조선이 처한 재무 상태와 기업계속성 등에 대한 의구심이 있어 현 상태로는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면서 “투자위원회를 통해 다음 주 말까지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릴 방침”이라고 전했다.
기금운용본부는 지난달 31일 투자관리위원회에 이어 전날 투자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투자위 회의에서는 대우조선 회사채를 주식으로 출자전환했을 때의 환수율,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결합한 초단기 법정관리인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에 들어갔을 때 평가손, 채무조정안 수용 시 법적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은행권은 대우조선 살리기에 동참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수출입은행이 영구채 금리를 연 3%에서 1%로 내리기로 하는 등 시중은행들의 요구가 일정 부분 수용됐기 때문이다. 대우조선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7일까지 채무 재조정안에 대한 시중은행의 동의서를 받을 계획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공단 기금운용본부는 6일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대우조선이 처한 재무 상태와 기업계속성 등에 대한 의구심이 있어 현 상태로는 수용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면서 “투자위원회를 통해 다음 주 말까지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릴 방침”이라고 전했다.
기금운용본부는 지난달 31일 투자관리위원회에 이어 전날 투자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투자위 회의에서는 대우조선 회사채를 주식으로 출자전환했을 때의 환수율,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결합한 초단기 법정관리인 ‘프리패키지드 플랜’(P플랜)에 들어갔을 때 평가손, 채무조정안 수용 시 법적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은행권은 대우조선 살리기에 동참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수출입은행이 영구채 금리를 연 3%에서 1%로 내리기로 하는 등 시중은행들의 요구가 일정 부분 수용됐기 때문이다. 대우조선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7일까지 채무 재조정안에 대한 시중은행의 동의서를 받을 계획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4-0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