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도비만 환자 30%는 정신질환도 함께 겪어”

“여성 고도비만 환자 30%는 정신질환도 함께 겪어”

입력 2017-06-14 15:28
업데이트 2017-06-14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강검진서 비만 환자 정신건강 함께 살펴야”

고도비만 환자는 신체 건강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우울감 등 정신건강의 위험도 함께 겪고 있으므로 건강검진을 할 때 고도비만 환자들의 정신건강도 함께 살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정 교수는 14일 건강보험공단이 개최한 비만 예방 정책 세미나에서 “고혈압, 협심증, 당뇨병 등 다른 만성질환은 우울함이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지만, 고도비만은 우울과 스트레스 모두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다.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년)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고도비만 환자는 여성이 65.6%로 남성(34.4%)보다 많았다.

스트레스 지수는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비만의 경우 2.16으로 정상(2.15)과 비슷했지만, 고도비만은 2.41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도 16.4%로 정상(9.9%)이나 비만(10.6%)보다 훨씬 높았다.

2012∼2013년 자료에서는 여성 고도비만 환자의 28.5%가 정신질환을 함께 가진 것으로 나타나, 남성 고도비만 환자의 정신질환 환자 비율(11%)보다 세 배 가까이 많았다.

불안장애가 4.4%로 빈도가 가장 높았고, 알코올 사용장애가 3.2%로 뒤를 이었다. 기분장애, 불면증, 니코틴 장애 등도 점차 느는 추세다.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비만이 우울증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우울증도 비만 발생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우울증도 심했다고 최 교수는 전했다.

폭식장애를 진단받고 비만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약물이나 알코올을 남용하는 사람들과 유사한 중독 취약성 성격을 보이기도 했다. 수면장애와의 연관성도 높아 수면이 충분하지 않을 때 탄수화물에 대한 갈망이 증가하고 포만감 신호는 줄어들었다.

고도비만 환자는 강박적 성격을 포함한 불안한 성격을 보이고 대인관계에도 미숙하며 충동 조절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최 교수는 “건강검진을 할 때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한테는 스트레스나 불안, 우울, 수면장애 등에 대한 추가 설문을 할 필요가 있다”며 “비만 관리 사업에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교육도 병행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