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고시 출신 과학기술정책 전문가…이진규 미래부 1차관

기술고시 출신 과학기술정책 전문가…이진규 미래부 1차관

입력 2017-06-27 10:17
업데이트 2017-06-27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부 중심으로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에 힘 쏟겠다”

이진규(54) 신임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은 기술고시 출신의 과학기술정책 전문 관료다.

2007년 대통령비서실에 파견돼 근무한 것을 제외하면, 과학기술정책 담당 부처가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으로 변하는 동안 이 분야를 떠나지 않고 쭉 일해 왔다.

부산남고와 서울대 조선공학과 학사·석사과정을 졸업했으며, 기술고시 26회로 공직에 투신했다. 미국 미주리대에서 기술경영학 박사학위도 받았다.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정책관,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인재관, 인터넷정책관, 연구개발정책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등을 지냈고, 최근에는 연구개발정책실장을 맡아 국가 R&D 정책을 총괄해 왔다.

입이 무겁고 판단이 진중하며, 자신과 다른 의견을 경청할 줄 아는 온화한 성품이다.

특히 바이오·기후 관련 연구개발(R&D) 기획에서 남다른 전문성을 발휘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신임 차관은 임명 소감을 묻는 질문에 미래부가 4차산업혁명위원회 주관부처가 됐다고 지적하고 “미래부가 중심이 돼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초원천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전보다 훨씬 더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연구산업을 활성화하고 R&D를 연동해서 연구장비, 연구관리, 연구개발 관련 서비스 등을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새 정부의 국정 1순위가 일자리이고 과학기술 기반 창업도 활성화해야 한다”며 “이런 철학과 정신을 계승해서 확대 발전해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