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톳환·다시마환서 카드뮴 등 중금속 다량 검출…주의해야”

“톳환·다시마환서 카드뮴 등 중금속 다량 검출…주의해야”

입력 2017-09-05 16:06
업데이트 2017-09-05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강환 중금속 안전기준 없어…소비자원, 식약청에 기준 마련 요청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톳환·다시마환에서 카드뮴과 비소 등 중금속이 다량 검출돼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에서 유통·판매되는 톳환 15개와 다시마환 15개 등 건강환 30개 제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고 5일 밝혔다.

건강환이란 천연원료를 가루로 만든 후 꿀이나 풀 등을 첨가해 둥근 환모양으로 빚어 만든 것이다. 건강기능식품과 달리 일반가공식품으로 분류된다.

조사대상 30개 모든 제품에서 중금속인 비소가 7.1∼115.7㎎/㎏ 나왔다.

톳환 15개 중 14개(93.3%)는 다른 중금속인 카드뮴 0.6∼2.3㎎/㎏을 함유하고 있었다.

조사대상 톳환과 다시마환 모두 ‘기타가공품’이나 ‘수산물가공품’으로 유통되고 있는데 이 유형에는 납·카드뮴·비소 등 중금속 기준이 없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조사대상 제품들은 건조된 원료가 가루로 만들어져 환 형태로 제조됐다.

1일 2∼3회 꾸준히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소비자원이 생약(자연물을 그대로 또는 말리거나 썰거나 가루로 만드는 등의 간단한 가공처리를 해 의약품으로 사용하거나 원료로 삼는 것)의 중금속 기준을 적용한 결과 톳환 14개 제품이 카드뮴 기준치(0.3㎎/㎏)를 최대 7.6배 초과했다.

비소의 경우도 톳환과 다시마환 모든 제품이 생약 기준치(3㎎/㎏)를 최대 38.5배 웃돌았다.

소비자원은 톳이나 다시마 원료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정도의 중금속이 들어있는데, 톳환이나 다시마환을 만들 때 수분이 감소하면서 단위 중량 당 중금속이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드뮴에 급성 중독되면 멀미·구토·설사·두통·근육통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만성중독 시에는 간이나 신장에 피해를 줘 단백뇨를 일으키며 빈혈·골 소실·결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비소에는 유기비소와 무기비소가 있다. 해산물에는 주로 유기비소 화합물이 포함돼 있지만 톳에는 무기비소가 들어있다.

단기간 다량의 무기비소에 노출되면 구토·복통·설사·사지 마비·근육 경련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장기간 무기비소를 먹게 되면 발달장애·기억력과 집중력 감퇴·파킨슨병·뇌병증·당뇨·폐 질환·심장질환·혈액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암·방광암·폐암 등 각종 암 발생 위험도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은 “조사대상 제품을 주로 섭취하는 사람들은 건강한 성인보다 노인 등 취약계층이 다수일 것으로 추정된다”며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관련 업체에는 톳환·다시마환 제품을 자발적으로 판매를 중단해 달라고 권고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건강환의 중금속 관리기준 신설을 요청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