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청년·대학생 실태 조사’
우리나라 20대 청년은 매달 70만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대학생들은 50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 매달 월세로 31만원 정도를 부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5일 금융위원회 등이 전국 만 19~31세 성인 남녀 중 대학생이 아닌 청년 850명과 전국 대학생 850명 등 총 17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학생의 월평균 수입은 50만 1000원이었다.

반면 월평균 지출은 102만 2000원이다. 등록금 등 교육비가 55만 4000원으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 밖에 생활비 36만 8000원, 주거비 9만 6000원 등의 순이었다.
연간 학자금은 응답자의 74.4%가 500만∼1000만원이라고 답했고, 학자금 납부는 88.1%가 부모에게 의존했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51.3%는 생활비와 학자금 등으로 “자금 부족을 느낀다”고 답했다. 자금이 부족한 경우 75.5%가 부모·친지의 도움으로 해결했다.
청년의 경우 월평균 수입은 157만 6000원이었다. 이들 중 대다수가 대학이나 고교 졸업 뒤 취업 전선에 뛰어든 결과다. 이들의 수입원은 69.8%가 급여다. 용돈(20.1%)과 아르바이트 수입(12.1%)도 적지 않았다. 사업소득은 4.1%다.
지출은 월평균 89만 3000원으로 대학생보다 적었다. 교육비(6만 9000원)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대신 생활비가 73만 6000원으로 대학생의 2배에 달했다. 주거비(5만 5000원)나 대출상환금(3만원) 부담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이들은 61.3%가 자금 부족을 호소했다. 이유는 생활비(79.5%)와 취업준비자금(13.4%)을 주로 꼽았다. 부모·친지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경우는 51.1%였다.
청년과 대학생 중 응답자의 22.9%는 부모로부터 독립해 생활했다. 주거 형태는 월세가 51.0%로 가장 많은 데 이어 ▲기숙사 19.5% ▲전세 13.6% ▲자가 11.0% 등의 순이었다.
독립 주거에 따른 월 주거비 부담은 임대주택이나 하숙 등 월세는 31만 1000원, 전세는 15만 1000원이다. 보증금도 금액으로 환산한 수치다.
다만 보증금은 1000만원 미만인 경우가 69.5%, 월세는 30만~50만원 비중이 49.3%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금융위 관계자는 “독립 주거로 월세를 이용할 때 보증금이 낮은 탓에 주거 부담이 커졌다”면서 “보증금을 1000만원 높이면 월세는 월 4만 2000원을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7-11-0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