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수당 신청률 극과극…강남구 73% ‘최저’·장수군 99% ‘최고’

아동수당 신청률 극과극…강남구 73% ‘최저’·장수군 99% ‘최고’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9-17 15:13
수정 2018-09-17 15: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소득층 소득·재산 노출 꺼리나…신청률 저조로 최소 3만9천명 미지급 우려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주민센터에서 한 부부가 다음달부터 아동 1명당 월 10만원씩 지급하는 아동수당을 신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주민센터에서 한 부부가 다음달부터 아동 1명당 월 10만원씩 지급하는 아동수당을 신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동수당 신청률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장수군은 아동수당 신청대상자의 99.3%가 신청을 마쳤지만, 서울 강남구는 73.4%만이 신청하는 데 그쳤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자유한국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아동수당 신청 현황’에 따르면, 이달 12일 기준으로 아동 229만5천970명이 수당을 신청했다.

아동수당 신청 대상은 만0∼5세 아동 244만1563명으로, 신청률은 94.0%였다.

시·도별 신청률을 살펴보면 신청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로 지급 대상자의 88.2%(35만4천464명)만 수당을 신청했다. 서울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90% 이하의 신청률을 기록했다.

반대로 신청률이 높은 가장 높은 지역은 경남으로 96.6%였다. 서울을 제외한 모든 시·도는 신청률이 최소 94%를 넘었다.

시·군·구별로 보면, 서울 강남구가 73.4%로 최저였다. 강남구와 함께 서울 서초구(73.7%), 용산구(80.6%), 송파구(82.2%), 종로구(82.5%)가 하위 5위에 속했다.

신청률이 저조한 기초자치단체 20곳 중 서울 내 지역은 15곳에 달했다.

전북 장수군의 신청률은 99.3%로 가장 높았고, 전북 완주군(98.4%), 전남 곡성군(98.4%), 강원 삼척시(98.2%), 대구 달성군(98.1%)이 상위 5위 안에 들었다.

강남구와 장수군의 신청률 차이는 25.9%포인트였다.

서울과 지방 소도시간 아동수당 신청률 차이가 큰 것은 일부 고소득층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해 신청을 포기하거나 소득과 재산 노출을 우려해 신청을 꺼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애초 만 6세 미만 아동이 있는 모든 가구에 수당을 주기로 했으나 작년 말 여야 예산안 협상에서 지급 대상이 ‘소득 하위 90%’로 축소됐다. 이 때문에 지급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소득·재산조사가 신청자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 계산에 따르면 만0∼5세 아동 244만1563명 가운데 95.6%인 233만명이 소득·재산 기준을 통과해 실세 아동수당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신청자 수를 고려하면 최소 3만9천여명 이상이 수당을 받을 수 있는데도 신청을 하지 않은 셈이다.

김 의원은 “정부가 모든 가구에 아동수당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지만, 정작 아동수당 신청률이 저조해 법적인 대상자조차 수당을 받지 못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아동수당은 아동 양육에 따른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동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국가가 지급하는 수당으로, 아동 1인당 최대 72개월 동안 지급된다. 지급액은 월 10만원이며 이달 21일 첫 지급 된다.

[표] 시군구별 아동수당 지급대상 대비 신청자 최저?최고 지역

(단위: 명, %)

┌───┬───────┬───────┬─────┬─────┬─────┐

│ 연번 │ 시도 │ 시군구 │신청대상자│ 신청자 │ 신청률 │

├───┼───────┼───────┼─────┼─────┼─────┤

│ 1 │서울특별시 │강남구 │ 21,014 │ 15,428 │ 73.4% │

├───┼───────┼───────┼─────┼─────┼─────┤

│ 2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104 │ 14,821 │ 73.7% │

├───┼───────┼───────┼─────┼─────┼─────┤

│ 3 │서울특별시 │용산구 │ 8,794 │ 7,090 │ 80.6% │

├───┼───────┼───────┼─────┼─────┼─────┤

│ 4 │서울특별시 │송파구 │ 30,978 │ 25,471 │ 82.2% │

├───┼───────┼───────┼─────┼─────┼─────┤

│ 5 │서울특별시 │종로구 │ 4,839 │ 3,990 │ 82.5% │

├───┼───────┼───────┼─────┼─────┼─────┤

│ 6 │경기도 │과천시 │ 2,273 │ 1,892 │ 83.2% │

├───┼───────┼───────┼─────┼─────┼─────┤

│ 7 │서울특별시 │마포구 │ 16,464 │ 13,997 │ 85.0% │

├───┼───────┼───────┼─────┼─────┼─────┤

│ 8 │서울특별시 │중구 │ 4,727 │ 4,078 │ 86.3% │

├───┼───────┼───────┼─────┼─────┼─────┤

│ 9 │서울특별시 │성동구 │ 14,666 │ 12,780 │ 87.1% │

├───┼───────┼───────┼─────┼─────┼─────┤

│ 10 │서울특별시 │강동구 │ 18,473 │ 16,351 │ 88.5% │

├───┼───────┼───────┼─────┼─────┼─────┤

│ 1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12,247 │ 10,869 │ 88.7% │

├───┼───────┼───────┼─────┼─────┼─────┤

│ 12 │서울특별시 │양천구 │ 18,499 │ 16,494 │ 89.2% │

├───┼───────┼───────┼─────┼─────┼─────┤

│ 13 │경기도 │고양시일산동구│ 12,119 │ 10,843 │ 89.5% │

├───┼───────┼───────┼─────┼─────┼─────┤

│ 14 │서울특별시 │동작구 │ 16,652 │ 14,967 │ 89.9% │

├───┼───────┼───────┼─────┼─────┼─────┤

│ 15 │서울특별시 │구로구 │ 18,854 │ 17,127 │ 90.8% │

├───┼───────┼───────┼─────┼─────┼─────┤

│ 16 │서울특별시 │광진구 │ 13,501 │ 12,266 │ 90.9% │

├───┼───────┼───────┼─────┼─────┼─────┤

│ 17 │서울특별시 │성북구 │ 17,757 │ 16,139 │ 90.9% │

├───┼───────┼───────┼─────┼─────┼─────┤

│ 18 │인천광역시 │강화군 │ 1,722 │ 1,568 │ 91.1% │

├───┼───────┼───────┼─────┼─────┼─────┤

│ 19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16,902 │ 15,400 │ 91.1% │

├───┼───────┼───────┼─────┼─────┼─────┤

│ 20 │경기도 │양평군 │ 4,267 │ 3,896 │ 91.3% │

├───┴───────┴───────┴─────┴─────┴─────┤

│ ··· │

├───┬───────┬───────┬─────┬─────┬─────┤

│ 231 │전라남도 │보성군 │ 1,300 │ 1,266 │ 97.4% │

├───┼───────┼───────┼─────┼─────┼─────┤

│ 232 │전라남도 │해남군 │ 2,948 │ 2,871 │ 97.4% │

├───┼───────┼───────┼─────┼─────┼─────┤

│ 233 │충청남도 │당진시 │ 10,120 │ 9,858 │ 97.4% │

├───┼───────┼───────┼─────┼─────┼─────┤

│ 234 │부산광역시 │기장군 │ 11,621 │ 11,324 │ 97.4% │

├───┼───────┼───────┼─────┼─────┼─────┤

│ 235 │경상남도 │산청군 │ 998 │ 973 │ 97.5% │

├───┼───────┼───────┼─────┼─────┼─────┤

│ 236 │강원도 │양구군 │ 1,163 │ 1,134 │ 97.5% │

├───┼───────┼───────┼─────┼─────┼─────┤

│ 237 │경상남도 │사천시 │ 5,303 │ 5,171 │ 97.5% │

├───┼───────┼───────┼─────┼─────┼─────┤

│ 238 │충청북도 │옥천군 │ 1,542 │ 1,504 │ 97.5% │

├───┼───────┼───────┼─────┼─────┼─────┤

│ 239 │전라북도 │순창군 │ 1,096 │ 1,070 │ 97.6% │

├───┼───────┼───────┼─────┼─────┼─────┤

│ 240 │충청북도 │충주시 │ 8,660 │ 8,455 │ 97.6% │

├───┼───────┼───────┼─────┼─────┼─────┤

│ 241 │전라남도 │나주시 │ 6,289 │ 6,150 │ 97.8% │

├───┼───────┼───────┼─────┼─────┼─────┤

│ 242 │경상남도 │거제시 │ 18,005 │ 17,629 │ 97.9% │

├───┼───────┼───────┼─────┼─────┼─────┤

│ 243 │경상북도 │영양군 │ 516 │ 506 │ 98.1% │

├───┼───────┼───────┼─────┼─────┼─────┤

│ 244 │울산광역시 │북구 │ 14,619 │ 14,338 │ 98.1% │

├───┼───────┼───────┼─────┼─────┼─────┤

│ 245 │강원도 │철원군 │ 2,077 │ 2,038 │ 98.1% │

├───┼───────┼───────┼─────┼─────┼─────┤

│ 246 │대구광역시 │달성군 │ 18,323 │ 17,983 │ 98.1% │

├───┼───────┼───────┼─────┼─────┼─────┤

│ 247 │강원도 │삼척시 │ 2,372 │ 2,330 │ 98.2% │

├───┼───────┼───────┼─────┼─────┼─────┤

│ 248 │전라남도 │곡성군 │ 756 │ 744 │ 98.4% │

├───┼───────┼───────┼─────┼─────┼─────┤

│ 249 │전라북도 │완주군 │ 4,852 │ 4,775 │ 98.4% │

├───┼───────┼───────┼─────┼─────┼─────┤

│ 250 │전라북도 │장수군 │ 707 │ 702 │ 99.3% │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