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벤처기업 폐업률 6.3%로 높지 않고 혁신활동 활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대희)은 최근 KISDI 기본연구(18-07-01) ‘ICT 벤처생태계의 변화 분석을 위한 패널데이터 구축 및 정책방향 연구(III)’ 보고서를 발간했다.보고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ICT 벤처기업 패널데이터 구축연구와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벤처기업 행태 및 성과연구를 수록했다. ICT 벤처패널은 2012년부터 2015년에 설립된 1118개의 ICT 분야 벤처기업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추적하여 폐업여부, 규모성장, 혁신활동, 협력활동, 정부지원 등 전반적인 경영활동을 조사했다. 2016년 1052개사, 2017년 573개사, 2018년 539개사가 설문에 응답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벤처기업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ICT 벤처기업 1118개 기업 중 폐업기업은 70개사로 폐업률은 6.3%였다. 추적조사에 실패한 기업을 포함하더라도 9.1%로 ICT 벤처기업의 폐업률은 높지 않았다.
둘째, 창업 4∼7년차인 ICT 벤처패널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3년간 연평균 성장률로 총자산 33.3%, 자본 40.7%, 매출 24.8%, 인력 18.4% 증가했다. 업종별로 3년간 평균 근로자수가 가장 크게 증가한 분야는 SW 분야로 연평균 34.9%(2016년 12.2명 → 2018년 22.2명) 증가했다.
셋째, ICT 벤처기업들은 활발한 혁신활동을 보여줬다. 연구개발비의 연평균 증가율이 43.8%에 이르렀으며, 조사대상기업 중 매년 20∼30%의 기업들이 신규 지적재산권을 출원하고 있었다.
넷째, ICT 벤처기업들은 전반적으로 국내시장 지향적이나, 3년 사이에 전 업종에서 글로벌 시장 진출이 증가세로 나타났다. 특히, SW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두드러졌다. 유럽시장 진출기업이 7.5%p, 중국 진출 5.4%p, 미국 진출 4.3%p 증가했다.
보고서는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ICT 벤처기업의 행태와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ICT 벤처패널의 유용성을 검토했다. KISDI는 2020년 ICT 벤처패널 데이터를 연구용으로 한정하여 공개할 예정이다.
조유리 연구위원은 “보고서의 통계수치는 패널기업에만 적용되며, 표집 및 생존에 따른 선택편의가 있으므로 벤처기업 전체로 확대해석에는 주의해야 한다”면서도 “이번 연구를 통해 빠른 성장과 활발한 혁신활동 등 ICT 분야 벤처기업의 역동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더욱 확대된 ICT 벤처패널을 구축할 예정으로 관련 학술 및 정책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