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불에 타고 찢어져 못 쓰게 된 돈이 4조 35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된 화폐를 위로 쌓으면 백두산 높이의 24배에 달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손상화폐 폐기와 교환 규모에 따르면 지난해 한은이 폐기한 손상 화폐는 모두 6억 4000만장으로 집계됐다. 5만원권이 발행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다.
폐기된 지폐 6억 1000만장 중 만원권은 3억 3000만장, 천원권은 2억 3000만장, 5000원권은 4000만장, 5만원권은 1000만장이다. 지폐만 해도 5t 트럭 114대 분량에 달한다.
동전은 2590만개(24억원 상당)가 폐기됐다. 10원짜리가 1110만개로 가장 많았고, 100원짜리는 990만개, 50원짜리는 260만개, 500원짜리가 230만개다.
습기로 손상환 지폐 한국은행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습기로 손상환 지폐
한국은행 제공
화재로 인한 손상이 11억 5000만원 어치로 가장 많았고, 장판 아래 뒀다가 눌어붙거나 습기에 부패하는 등 보관을 잘못한 경우가 10억 7000만원 어치였다. 한국은행은 지폐의 75% 이상이 남아있어야 전액 새 돈으로 바꿔준다. 남아있는 면적이 40~75%면 절반만 바꿔주고, 40%가 안되면 교환할 수 없다. 동전은 모양을 알아볼 수 있는 경우 전액을 바꿔준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