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 기부 취소’ 민원 폭주하자 뒤늦게 메뉴 개선

‘재난지원금 기부 취소’ 민원 폭주하자 뒤늦게 메뉴 개선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5-12 17:29
수정 2020-05-12 17: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난지원금 실수로 기부” 콜센터에 쇄도
잘못 눌러 ‘전액 기부’…행안부 개선 대책
“전액 기부 선택하면 팝업창 확인 가능”
‘기부하지 않음’ 메뉴도…정정도 가능하게
긴급재난지원금 기부금 입력 화면. 연합뉴스
긴급재난지원금 기부금 입력 화면. 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긴급재난지원금을 실수로 기부했다며 취소하겠다는 요청이 잇따르자 ‘실수 기부’를 방지할 장치를 마련해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행안부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13일부터는 전액 기부를 선택할 경우 팝업창으로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모든 카드사에 개선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기부하지 않음’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행안부는 “기부금을 실수로 입력하면 신청 당일 카드사 콜센터와 홈페이지에서 수정할 수 있게 했고, 당일 수정하지 못해도 추후 주민센터 등을 통해 수정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긴급재난지원금과 신청과 관련해 각종 인터넷 게시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기부 동의가 헷갈리게 설정돼 있다’, ‘강제 기부를 유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쇄도했다. 심지어 이날 구글과 유튜브 검색어 통계에서 ‘기부 취소’ 검색어 빈도가 이전과 비교해 100배나 상승한 것으로 추정됐다.

긴급재난지원금을 기부하려면 기부 항목에 금액을 입력하고 신청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이를 지원금 신청 버튼으로 착각하거나 선택 항목으로 돼 있는 기부를 필수 항목으로 오해해 전액 기부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아무 생각 없이 클릭 상자를 눌러 전액기부가 됐다는 하소연도 있었다. 이에 카드사 상담센터에는 기부 취소를 요청하는 문의가 이어졌다.

당초 카드업계는 지원금 신청 화면과 기부 신청 화면을 분리할 것을 요구했다. 즉, 지원금 신청 메뉴를 눌러 지원금 신청 절차를 개시해 마무리하고, 이후 기부에 뜻이 있는 고객만 별도의 기부 신청 메뉴를 눌러 기부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원금 신청 절차 내에 기부 신청 절차를 삽입하도록 지침을 내려 현재와 같은 기부 신청 절차가 마련됐다.

정부는 한번 기부하면 취소할 수 없게 했지만 업계에서는 실무적으로는 당일 취소할 수 있도록 했다. 카드사 신청 자료가 매일 오후 11시 30분에 정부로 넘어가 그 이전에 기부를 취소하거나 기부금을 변경할 수 있다.

행안부는 논란에 대해 “기부를 시스템적으로 유도한다는 것과 약관 전체 동의 시 기부에도 동의한 것으로 처리된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지원금 신청과 기부를 한 화면에 구성한 것은 트래픽 증가로 인한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