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소비·수출 감소로 경기 위축 심화”


무디스
무디스 제공
무디스는 12일 “유사 등급 국가 대비 코로나19발 한국의 경제적 피해는 제한적이고 정부 재정과 부채 상황은 크게 약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코로나19 사태에서 보였듯 한국은 강한 거버넌스와 충격에 대한 효과적인 거시경제·재정·통화관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무디스는 “장기적으로는 고령화가 성장을 제약하고 정부 부채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북한과의 평화 정착을 위한 진전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정학적 위험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세 번째로 높은 ‘Aa2’로 올린 뒤 3년 넘게 유지해 왔다. 한국과 등급이 같은 국가는 프랑스, 영국 등이다. 또 다른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는 한국 신용등급을 ‘AA-’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AA’로 보고 있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동향 5월호’를 통해 코로나19로 소비와 수출이 감소하면서 경기 위축이 심화되고 있으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KDI는 “3월 소매판매액과 서비스업 생산이 급감하고 4월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세를 이어 가며 내수가 소비를 중심으로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며 “특히 대외 수요의 본격적인 위축으로 4월 수출이 모든 품목과 지역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이날 발표한 ‘2020년 세계 경제 전망(업데이트)’에서 세계 경제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2%보다 5.8% 포인트 내린 -2.6%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0-05-1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