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을 수 없는 벽’ 앞에서도… 분전하는 로봇기업들
열악한 환경과 실패의 위기 속에서도 분전하고 있는 로봇기업들이 있다. 지난달 한국을 대표할 만한 로봇기업 2곳을 찾았다. 국내 최초 사족보행 로봇을 개발한 ‘에이딘로보틱스’와 와상환자를 위한 배변케어로봇 ‘큐라코’를 소개한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최혁렬(왼쪽)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이윤행 에이딘로보틱스 대표가 사족보행 로봇 ‘에이딘’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관절마다 지면에 가하는 힘을 측정하는 ‘다축 힘 토크 센서’가 있어요. 덕분에 자연스럽게 네 발로 다닐 수 있죠. 바퀴가 가지 못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입니다.”
지난달 7일 경기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의 한 연구실. 기계공학과 최혁렬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된 사족보행 로봇 ‘에이딘’을 점검하고 있었다. 중형견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에이딘을 작동시키자 네 발을 통통 튀기며 앞으로 이동했다. 걸음이 제법 자연스럽다.
얼핏 간단해 보이지만 제대로 된 사족보행 로봇은 세계에서 손에 꼽는다. 로봇의 다리가 지면에 닿을 때의 힘을 정확히 측정하는 다축 힘 토크 센서는 에이딘만의 특장점이다. 어느 한 곳에 고정돼 있거나 기껏 바퀴로 움직이는 로봇에 비해 에이딘의 가치가 더욱 올라가는 이유다. 에이딘이 자율경비나 배송 등 인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특화된 로봇으로 활용될 거라는 게 최 교수와 그의 제자 이윤행 박사가 이끄는 ‘에이딘로보틱스’의 기대다.
2016년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최 교수가 완성한 ‘에이딘식스’를 시작으로 사족보행 로봇 관련 연구가 이어졌다. 에이딘로보틱스를 본격적으로 창업한 것은 지난 1월이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자 두 사람은 “코로나19는 역설적으로 로봇의 필요성과 관련 시장을 확인할 수 있는 이벤트였다. 완성차 업계만큼의 생태계가 형성될 것”이라면서 “남들이 따라할 수 없는 우리만의 원천기술을 토대로 기술지주회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간병로봇 ‘큐라코’, 불편한 기저귀 대신 자동 배변케어
노인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간병인은 점점 줄어든다. 와상환자를 위한 간병로봇 ‘큐라코’의 기술이 빛날 시간이다. 큐라코는 배변케어로봇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다리 사이에 기저귀 대신 채워 놓으면 된다. 대소변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국부를 씻어 준다. 오물은 그대로 흡입돼 필터와 살균을 거쳐 최대한 깨끗한 상태로 보관한다. 간병인들은 나중에 와서 오물통만 처리하면 된다. 간병인과 환자의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코로나19 사태에서도 눈길을 끄는 기술이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훈상(왼쪽) 큐라코 대표
이훈상 큐라코 대표가 배변케어로봇 큐라코를 시연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6-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