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개인신용대출 잔액 120조 부동산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주춤 주식시장 활황으로 ‘빚투자’ 영향도
이미지 확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은행 주택담보대출 연합뉴스
국내 주요 은행의 신용대출이 2조원 넘게 증가했다. 지난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사상 최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부동산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이 어려워지자 비교적 쉽게 받을 수 있는 신용대출로 수요가 몰린 것으로 해석된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120조 2043억원으로 전달보다 2조 6811억원(2.28%) 늘었다.
이는 올해 최대 증가세를 기록한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급증한 수치다. 지난 6월에는 신용대출 잔액이 117조 5232억원으로 그 전달보다 2조 8374억원이 증가했다. 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 증가 폭은 코로나19 위기가 고조됐던 3월에 2조 2409억원 늘었고, 4월엔 4974억원으로 주춤했다가 5월에는 1조 689억원으로 증가해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신용대출이 급증한 데에는 부동산이 한몫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연일 발표되고 있지만, 집값이 떨어지지 않자 사람들의 불안감으로 ‘패닉 바잉’(공황 구매)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여기에 정부가 발표한 ‘6·17 부동산 대책’ 등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담보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주택 마련용 대출 수요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신용대출로 몰렸다는 관측이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52조 8230억원으로 전달보다 1조 3672억원 증가했다. 6월(8461억원)보다는 크지만, 4조원대 증가 폭을 보였던 올해 3월과 4월 그리고 5월(1조8203억원)에 비하면 적은 수준이다.
이외에도 최근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이면서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동학개미’도 신용대출 비율 증가에 일정 부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식시장이 활성화되면서 개인투자자들이 개인신용대출을 받아 투자하는 움직임이 커진 탓도 있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