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중 현금 비중도 최고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3월 말 ‘가계와 비영리단체’(이하 가계)가 보유한 금융자산은 3975조 789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0.14%(5조 6257억원) 줄었다. 2018년 4분기(-1.07%) 이후 첫 감소다.
가계의 전체 금융자산 가운데 현금은 90조 873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3.4%(2조 9637억원) 증가했다. 2008년 통계 집계 이래 가계의 현금 자산이 90조원을 넘은 건 처음이다. 직전 분기 대비 증가율은 2018년 3분기(4.5%) 이후 가장 높았다. 전기 대비 증가율이 3%를 넘은 건 모두 5번이다.
전문가들은 1분기에 현금 자산이 늘어난 건 코로나19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불안감에 미래를 대비해 가계에 현금을 쌓아두자는 심리가 작용했다는 진단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포감이 1분기에 가장 심했다”며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점에서 가계가 현금을 쌓아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자산은 줄고 현금은 늘면서 전체 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현금 비중도 올 1분기 2.27%로 역대 최고였다. 이 비중은 2016년 4분기(2.01%)에 처음 2%대로 올라선 뒤 소폭 등락하다 2019년 2분기(2.14%)부터 매 분기 상승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8-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