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2차 유행 3분기, 자영업자·기업 대출 2분기보다 확 줄었다

코로나 2차 유행 3분기, 자영업자·기업 대출 2분기보다 확 줄었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2-02 13:07
수정 2020-12-02 1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19가 올 3월에 이어 8~9월 2차 유행을 했는데도 3분기 자영업자·기업 대출은 사상 최대 폭으로 불어났던 2분기보다 확 줄어들었다. 상반기 큰 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되고, 실적 개선 등이 맞물린 결과다. 하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대출 증가세는 역대 최대를 기록, 자영업자와 기업들이 여전히 빚을 내 버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7~9월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1366조원으로, 2분기보다 37조 8000억원 늘었다.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한 2분기(69조 1000억)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15.4% 증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8년 1분기 이후 가장 높다.

산업별 대출 증가 폭을 전 분기와 비교하면 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줄었다. 자영업자가 많은 서비스업은 2분기 47조 2000억원에서 3분기 28조 9000억원으로 축소됐다. 도소매업이 12조 4000억원에서 6조 1000억원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이 6조 4000억원에서 1조 4000억원으로, 부동산업이 10조 6000억원에서 8조6천억원으로 줄었다. 한은은 “서비스업은 코로나19 관련 대출금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매출실적 개선 등으로 증가 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전 분기 대비 서비스업 생산지수(계절조정)는 1분기 -3.0%, 2분기 -1.5%에서 3분기 1.9%로 개선됐다.

제조업은 2분기 17조 2000억원에서 3분기 5조 8000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상반기 큰 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업황 부진 완화, 유동성 확보 수요 둔화 등으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