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로봇 개’로 유명한 미국 로봇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며 본격적인 로봇 사업 확대에 나선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사재 2400억원을 출연했다.
현대차그룹은 11억 달러 가치의 미국 로봇 전문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에 대한 지배 지분을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인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11일 밝혔다.
4족 보행 로봇 ‘스팟’.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4족 보행 로봇 ‘스팟’.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투자 규모는 모두 8억 8000만 달러(약 9588억원)규모다.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구주(6억 3000만달러)를 인수하고,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2억 5000만달러)를 인수해 전체 지분의 80%를 취득하게 됐다. 소프트뱅크그룹은 20%를 보유한다. 현대차그룹 내 최종 지분율은 현대차 30%, 현대모비스 20%, 현대글로비스 10%, 정의선 회장 20%로 구성될 예정이다.
정 회장의 지분 참여는 신사업에 대한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차원이다. 지난해 10월 정 회장은 “미래에는 자동차가 50%가 되고 30%는 개인 항공기(PAV), 20%는 로보틱스가 될 것”이라며 ‘로보틱스’ 사업 강화를 예고해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 제공
정 회장은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는 현대차그룹의 역량에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보틱스 기술이 더해져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고령화, 언택트로 대표되는 글로벌 메가 트렌드가 진행 중인 가운데 안전, 치안, 보건 등 공공영역에서도 인류를 위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도 “현대차그룹과 함께 로봇 상용화 가속화에 나서게 돼 감격스럽다”며 “현대차그룹과 함께 할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미래는 매우 밝으며 소프트뱅크그룹도 이들의 성공에 지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444억 달러 수준의 세계 로봇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기록해 1772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 가능성이 큰 물류 로봇 시장에 진출하고, 이어 건설 현장 감독이나 시설 보안 등 각종 산업에서의 안내·지원 역할을 할 수 있는 서비스형 로봇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다.
현대차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걸어 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현대차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걸어 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 연합뉴스
1992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분사해 설립된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4족 보행 로봇 ‘스폿’, 2족 보행 로봇 ‘아틀라스’ 등 다양하고 혁신적인 로봇 개발로 주목받아왔다. 이미 로봇 운영에 필수적인 자율주행(보행)·인지·제어 등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인수는 계약 체결을 비롯해 이후 한국, 미국 등 관련 정부 부처의 승인 절차를 거쳐 이르면 내년 상반기 중 최종 마무리될 전망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