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10명 중 7명, 금융 최대 위험 요인은 ‘코로나 장기화’

전문가 10명 중 7명, 금융 최대 위험 요인은 ‘코로나 장기화’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2-14 13:28
업데이트 2020-12-14 1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외 경제·금융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위협으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장기화’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의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기관·협회·연구소 담당자 82명 중 70%(복수응답)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가능성을 최대 금융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대선 이후 미국 정부 정책 방향 불확실성(50%), 기업실적 부진과 신용위험 증대(38%), 고용악화 등에 따른 가계 소득 감소(38%)가 뒤를 이었다. 1순위로 꼽은 요인도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가능성(49%)이 차지했다.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가능성, 고용악화와 가계 소득 감소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2차례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 전인 지난달 10~25일 이뤄졌다. 금융시스템 리스크는 금융 기능이 마비되면서 실물 경제까지 심각한 타격을 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는 지난 6월 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80%가 주요 리스크로 지목했다. 미 정부 정책 방향 불확실성, 고용악화 등에 따른 가계 소득 감소 등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부상했다.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초래할 충격 발생 가능성은 상반기보다 낮게 전망됐다. 1년 내(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38%에서 20%로 줄었고,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29%에서 45%로 늘었다. 중기(1~3년) 충격 발생 가능성도 ‘높다’고 응답한 비중이 31%에서 18%로 감소했고,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18%에서 23%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가장 유의해야 할 금융안정 위험 요인으로는 ‘기업 부문(중소기업·자영업자 포함) 실적 부진과 신용위험’(52%) 비중이 가장 컸다.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바뀐 환경에서 금융기관이 직면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 비대면 중심 영업 환경 변화 등이 거론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