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1개월… 치킨도 패션도 자체 앱 시대

코로나 11개월… 치킨도 패션도 자체 앱 시대

심현희 기자
입력 2020-12-16 20:24
업데이트 2020-12-17 0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온라인 수요 급증·로열티 높이려 개설
BBQ·교촌치킨 등 가입자·매출 ‘쑥쑥’
“편리한 결제 등 경쟁력 키우기 과제”

“더이상 ‘배달의민족’에 의존하지 않겠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 수요가 급증하면서 식음료, 화장품 등 제조 업체들이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장기화하면서 배달 수요가 폭증한 가운데 배달의민족, 쿠팡, 무신사 등 여러 브랜드를 입점시켜 놓은 플랫폼 업체의 영향에서 벗어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로열티를 높여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치킨프랜차이즈 제너시스 BBQ는 자체 앱을 통해서 특정 세트를 주문하는 고객들에게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행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8월 한 달간 자체 앱에 가입하는 고객들에게 7000원을 할인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직전 30만명에 그쳤던 가입자 수가 한 달 만에 280만명을 돌파하자 자체 앱 강화 프로모션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 1위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애프앤비도 지난해 자체 앱 ‘교촌1991’을 출시해 ‘충성 고객’들을 끌어모은 결과 지난해 대비 자체 앱을 통한 매출이 100% 증가했다.

관계자는 “당장엔 프로모션 비용이 들어도 자체 앱을 키우면 가맹점들이 배달앱에 내는 수수료를 줄일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이득”이라고 말했다.

통합 온라인 쇼핑몰 의존도가 심한 화장품·패션 업체들도 ‘자체 앱’ 살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LF의 공식 온라인 쇼핑몰 앱인 LF몰은 올해 온·오프라인 연계 매장인 ‘LF몰 스토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헤지스 피즈라인, 일꼬르소, JSNY 등 LF몰의 온라인 전용 자체 브랜드(PB) 제품을 온라인에서 구입한 뒤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령하면 LF몰에서 쓸 수 있는 마일리지 2500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방식이다. 지난 10월에는 온라인에서 해외명품을 최대 90% 할인 판매했다. 아모레퍼시픽은 립 전문 뷰티 플랫폼 ‘컬러테일러’ 앱을 통해 립 제품 컬러를 비롯해 입술과 관련한 뷰티 정보를 제공한다.

코로나 시대 온라인 플랫폼 업체의 영향력이 막대해진 만큼 향후 ‘똘똘한’ 자체 앱은 제조업체들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온라인 플랫폼 업체는 입점 수수료가 15~40%에 달하는 데다 여러 브랜드가 모여 있어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체 앱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선 플랫폼 앱이 여러 브랜드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고 간편결제도 가능해 편리하다”면서 “자체 앱 경쟁력을 키우려면 편리한 결제 기능, 프로모션, 브랜드 가치 등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12-17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