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비 연동제’ 앞두고 국제유가 오름세
“상승분 반영 땐 요금 상한까지 뛸 수도”
내년 1월 ‘연료비 연동제’ 시행을 앞두고 최근 국제유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전기요금 인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료비 연동제는 전기 생산에 쓰이는 석유를 비롯해 원재료값이 내려가면 전기요금도 내려가고, 원재료값이 올라가면 전기요금도 올라가는 제도다. 통상 유가와 연료비는 5~6개월 시차를 두고 같은 방향으로 변화한다.20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지난 1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0.74달러 오른 49.10달러에 거래됐다. 7주째 상승한 유가는 코로나19가 본격 확산되기 전인 2월 25일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도 이달 11일 9개월 만에 50달러대로 올라선 뒤 18일에는 51.11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연평균 41.36달러보다 10달러 이상 높다.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과 석유 수요 회복 기대감, 미국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줄어든 게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내년 국제유가 전망치를 상반기엔 배럴당 평균 44.8달러, 하반기엔 48.0달러로 예측하면서 하반기에도 요금 인하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백신 개발 등으로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되고 세계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면 유가는 정부 전망치보다 더 빠르게 더 크게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에너지컨설팅업체 우드매킨지는 “내년 세계경제 회복으로 석유 수요가 하루에 660만 배럴 증가하는 특별한 해가 될 것”이라며 “내년 말 유가는 배럴당 55달러(브렌트유 기준)를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다.
월평균 350◇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 기준 내년 전기요금은 올해 저유가 기조로 상반기엔 월 최대 1750원 ‘반짝’ 내려가겠지만 하반기부턴 최근 유가 상승분이 반영돼 월 최대 1750원 인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정부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하면서 급격한 인상·인하를 막기 위해 1750원을 월 상하한선으로 뒀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2-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