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영끌’ 30대, 퇴직연금까지 해지

‘부동산 영끌’ 30대, 퇴직연금까지 해지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12-25 02:38
업데이트 2020-12-25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사람들이 퇴직연금을 깬 주된 이유는 집을 사는 데 보태거나 전월세 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30대 해지자는 셋 중 한 명이 집을 사려고 퇴직연금을 깼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대출로도 모자라자 ‘퇴끌’(퇴직금 끌어모음)에 나선 것이다.

●퇴직연금 중도 인출 30대 36.8% 해당

24일 통계청의 ‘2019년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중도인출자는 총 7만 2830명으로 1년 전보다 1.8% 늘었다. 인출 금액은 7.6% 증가한 2조 7758억원으로 집계됐다. 퇴직연금 중도인출은 사실상 해지를 의미한다. 사유를 보면 장기 요양(37.7%), 주택 구입(30.2%), 주거 임차(22.3%), 회생 절차(9.3%) 등의 순이었다. 주택 구입과 주거 임차가 ‘사는 곳’ 마련이라는 같은 목적인 걸 감안하면 절반 이상이 집 때문에 퇴직연금을 깬 것이다. 현행 퇴직연금 관련 법령은 주택 구입이나 전세금·보증금, 요양, 파산선고·개인회생, 대학등록금·혼례비·장례비 등으로 중도인출 사유를 제한하고 있다.

●20대 54.5% “전월세 보증금 마련 이유”

연령대별 중도인출자를 보면 30대가 2만 8200명(38.8%)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36.8%(1만 400명)가 주택 구입을 사유로 들었다. 주거 임차를 사유로 든 경우도 28.8%(8100명)에 달했다. 30대보다 자산이 적은 20대는 주거 임차(54.5%)가 압도적이었다. 전월세 보증금 마련으로 노후를 대비할 여유가 없는 것이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0-12-25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