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인테리어 업계… 작년 ‘역대급’ 실적

진격의 인테리어 업계… 작년 ‘역대급’ 실적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2-08 17:42
업데이트 2021-02-09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택근무 늘며 집 리모델링 등 수요 폭증
한샘·현대리바트 등 주가·영업이익 ‘쑥’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의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국내 인테리어 업체들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며 주가가 고공행진한 가운데 올해도 좋은 흐름을 이어 갈지 주목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샘, 현대리바트, LG하우시스 등 인테리어 업체들은 지난해 일제히 호실적을 거뒀다. 주택시장 호황의 여파로 실적이 좋았던 2017~2018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한샘의 지난해 영업이익(930억원)은 전년보다 67%, 현대리바트(414억원·예상)는 73% 올랐다. 구본준 ㈜LG 고문을 따라 계열분리되는 LG하우시스는 매각이 결정된 자동차소재사업부의 부진 속에서도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 오른 710억원을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리모델링, 인테리어 수요가 폭증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코로나19 여파에서 회복되는 올해도 이런 흐름이 계속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샘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주택시장은 과거와 달리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집에 대한 질적 투자의 시대’로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한샘에 따르면 지난해 8~10월 아파트 거래량(18만 3640건)은 직전 3개월(26만 2536건) 대비 31%나 감소했지만, 한샘의 4분기 매출은 오히려 직전 분기보다 9.6%나 증가했다.

각 사가 풀어야 할 숙제는 남았다. 한샘은 최근 불거진 44억원 규모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해결해야 한다. 회사는 ‘회계처리상 실수’라는 입장이다. LG하우시스는 ‘LG’라는 이름 없이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게 관건이다. 현대리바트도 지난해 6월 1400억원을 들여 경기 용인에 준공한 ‘스마트 워크센터’(SWC)의 효율을 극대화해 업계 선두주자들을 따라잡아야 한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1-02-09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