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 자르르 ‘알찬미·해들’… 日아키바레 넘어 벼 품종 독립

윤기 자르르 ‘알찬미·해들’… 日아키바레 넘어 벼 품종 독립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21-10-24 17:14
업데이트 2021-10-25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 많아
맛 일품… 전국 쌀 인지도 1위

밥맛은 쌀이 좌우한다. 이천 지역은 전형적인 분지다. 남한강 수계의 평야와 산간부가 닿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양질의 쌀을 생산하는 데 최적이다.

이천시는 ‘임금님표 이천쌀’이 일본 품종이라 2016년 새로운 품종 개발에 나섰다. 4년 동안 수차례 실패 끝에 조생종 ‘해들’과 중생종인 ‘알찬미’를 내놨다. 해들과 알찬미는 일본 품종보다 쓰러짐과 병충해에 강해 재배가 쉽고 수확량도 많았다. 밥맛도 전문가들로부터 인정받았다.

밥을 지으면 윤기가 흐르고 차지며 고소한맛이 일품이다. 전국 쌀 인지도 1위인 임금님표 이천쌀 이름에 걸맞은 명품 쌀이 탄생한 것이다.

밥맛이 일품인 ‘알찬미’는 명품 쌀로 인정받는 일본 벼 ‘아키바레’를 뛰어넘어 국산 벼 독립을 앞당긴 품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알찬미는 2008년 ‘주남’과 ‘칠보’를 교배해 2018년에 개발됐다. 키는 69㎝로 중만생종인 추청보다 15㎝ 작아 쓰러짐에 매우 강하다.

소비자 평가단이 식미검정한 결과 45%가 알찬미의 밥맛이 좋다고 꼽아 2%를 차지한 ‘아키바레’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미래 이천쌀을 책임질 대들보 ‘해들’은 조생종으로 2007년 ‘고품’과 ‘강원4호’를 교배해 개발했다. 2017년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밥맛과 재배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해들 출수기는 조기재배 기준 7월 24일로 빠르며, 키는 75㎝로 작아 태풍 등에 의한 쓰러짐에 강하다. 소비자 평가단이 식미검정을 한 결과 48%가 해들의 밥맛을 최고로 평가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2021-10-25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