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실패하기’ 카뱅 금융기술硏 과감한 도전

‘빠르게 실패하기’ 카뱅 금융기술硏 과감한 도전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1-24 20:32
수정 2022-01-25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패에서 성과 찾는 안현철 소장

내외부 망 분리 규제서 벗어나
금융업무 연구 빠르게 결과 내

딥페이크로 안면인식 조작 우려
정확도 1%가 ‘보안’ 차이 만들어
이미지 확대
안현철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
안현철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
“빠르게 실패하는 게 저희 일입니다.”

24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만난 안현철(사진·46)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장은 첫마디부터 ‘실패’를 끄집어냈다. 안 소장은 “금융권과 달리 망 분리 규제 예외 적용을 받아 모든 게 빠르게 진행되고 빠르게 실패하고 빠르게 성과를 낸다”고 했다.

전자금융거래법상 망 분리 규제는 내부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하도록 해서 금융사 직원들은 원칙적으로 원격 접속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안 소장의 실패는 이 규제를 적용받지 않아 빠른 실패를 통해 빠른 성과를 도출한다는 의미였다. 이를테면 A, B, C 세 개 논문을 데이터에 적용할 경우 망 분리 규제를 받는다면 개인정보가 빠져나가거나 악성코드가 침범할 위험이 있어 검증과 재시도에 1~2년이 걸리지만 망 분리 규제를 받지 않으면 A논문이 아닌 것 같으면 빠르게 실패하고 B, C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안 소장은 “기술을 개발할 때 데이터 학습과 검증을 위해선 오픈데이터를 반입·반출하면서 연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은행권에서는 보안상 위험성이 있어 기술적인 제약사항이 발생한다”며 “망 분리 규제 예외 적용을 받으면서 협업을 원하는 이들을 자유롭게 부를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변화”라고 했다.

카카오뱅크를 비롯한 시중은행권은 최근엔 안면인식 기술에 뛰어들고 있다. 연구소는 기존 금융권에서 논의하고 있는 기술을 살짝 비틀어 생각하려 한다. 특히 ‘안티 어뷰징’(부정 사용 행위 방지) 측면에서 차별을 꾀하고 있다. 안 소장은 안면인식 기술을 애플리케이션(앱)에 적용했는데 사용자가 딥페이크로 조작한 화면으로 인식을 시도한다면 어떻게 될까 등 여러 질문을 던졌다. 그는 “이를 걸러 낼 수 있도록 보안 기술의 정확도를 1%라도 높이는 게 차이를 만든다”며 “기존 사용자들이 느꼈던 불편함을 재해석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2022-01-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