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첫 투자 매년 150억원 규모 펀드 결성 계열사 활용 IPO·M&A까지 지원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창업보육공간 ‘플랫폼365’. 한국투자금융지주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창업보육공간 ‘플랫폼365’. 한국투자금융지주 제공
한국투자금융지주가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액셀러레이터(AC)를 설립해 본격 투자에 나섰다.
한국금융지주는 청년 기업을 위한 재무적 투자와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를 설립하고 15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해 첫 투자를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AC 설립을 위해 한국금융지주는 지난해 12월 200억원을 출자했다. 스타트업 지원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확대하겠단 복안이다. 신임 대표는 백여현 한국금융지주 사회공헌담당 부사장이 맡는다.
AC는 사업 개시 3년 미만의 초기 창업 기업을 발굴해 초기 자본금 투자, 사업공간 제공, 멘토링 등 창업 보율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으로 중소벤처기업부의 심사를 통해 지정된다.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는 지난 15일 150억원 규모의 ‘한투 바른동행 셰르파 제1호’ 펀드 결성한 데 이어 매년 15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해 청년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펀드는 별도의 정부 정책자금 투입 없이 한국금융 계열사의 출자로만 구성됐다.
아울러 글로벌 투자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청년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고 한국투자파트너스,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등 계열사들은 후속 투자를 이어갈 전망이다. 초기 스타트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뒤에도 기업공개(IPO), 인수합병(M&A)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는 서울 테헤란로 인근에 2개 층 1600㎡(약 480평) 규모의 창업 보육 공간도 마련했다. 한국금융지주 관계자는 “그룹의 역량을 활용해 초기 기업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의 생애 주기 전 사이클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인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