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영양 솔루션, 대체 단백, 미래식품소재 등의 신사업을 전담하는 FNT(Food&Nutrition Tech) 사업 부문을 신설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CJ제일제당은 식품, 바이오, FNT, 피드앤케어(Feed&Care) 4개 사업 부문으로 재편됐다.
CJ제일제당은 FNT 사업 부문을 통해 미생물 발효, 균주개발 등 기술 인프라와 마케팅, 품질관리 등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역량을 결합해 혁신성장을 가속화 한다는 방침이다.
최은석(사진) CJ제일제당 대표는 지난주 임직원에게 보내는 최고경영자 레터에서 “그룹 4대 성장엔진인 C.P.W.S(문화, 플랫폼, 건강지향, 지속가능성) 기반의 전략 아래 크게 도전해 볼 사업 분야로 이들 사업 영역을 선정하게 됐다”면서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신임 FNT 사업부문장으로는 바이오·식품 소재 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많은 최해룡 전 HNH사업본부장이 선임됐다. 특히 FTN사업부문 안에 기획운영과 신사업개발부터 마케팅, 연구개발 조직까지 갖춰 하나의 사업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트렌드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란 설명이다.
업계에 따르면 건강지향 식품소재 시장은 현재 약 692조 규모에서 2025년에는 867조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CJ제일제당은 연간 약 1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FNT 사업 부문 매출을 2025년 2조원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회사 차원의 전폭적 지원도 예정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핵심 역량을 조기에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