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43% “대출금리 3%P 더 오르면 이자도 못 갚아”…중기부, 금융 지원 논의

중소기업 43% “대출금리 3%P 더 오르면 이자도 못 갚아”…중기부, 금융 지원 논의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2-11-24 17:24
수정 2022-11-24 17: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기부, 6대 시중은행장과 중기·소상공인 금융 지원방안 논의

중기·소상공인 546개곳 설문조사 결과 공개
이영 “정책금융기관·은행장 버팀목 돼달라”
고금리·환율상승 이중고 기업 긴급 자금 지원
이미지 확대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열린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대출 금리 인상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43%는 현재 적용받은 대출금리에서 3% 포인트가 더 오르면 대출 이자나 원리금의 정상 상환이 어렵다고 밝혔다. 또 자금 사정이 지난해보다 악화됐다는 기업이 53%에 달했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6대 시중은행장을 만나 “정책금융기관과 시중은행장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버팀목이 돼 달라”고 요청했다.

“자금사정 작년보다 악화 53%”
중기부는 24일 서울 중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올해 제2차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를 열고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애로 대응 방향과 고금리 극복 금융지원책 마련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금융지원위에는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윤종원 IBK기업은행장, 권준학 NH농협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과 중소기업중앙회, 벤처기업협회 등 협·단체장, 정책금융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지원위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기술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등 3개 기관이 최근 3주간 중소기업·소상공인 546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도 보고됐다.

자금 사정이 지난해보다 악화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52.7%를 차지했다. 이는 호전됐다는 17.2%의 약 3배다. 대출 규모가 커진 기업은 70.9%에 달했다.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기업의 경우 대출금리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포인트 이상 오른 기업은 60.4%에 달했다. 최근 금리가 높아져 현재 영업이익으로는 이자 상환에 부담이 있다는 답변도 51.8%였다.
이미지 확대
인사말 하는 이영 장관
인사말 하는 이영 장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열린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2022.11.24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부실 위험 있으나 회생 가능 기업에
자금공급, 금융권 채무조정제 지원
이에 대해 중기부는 고금리에 더해 환율 변동과 원자재값 상승 등 이중고를 겪는 기업에 우선 긴급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정책 자금의 우선순위는 초격차 스타트업 등 혁신기업 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둘 예정이다. 세부 사항은 다음달 발표한다.

또 부실 위험에 빠져 있으나 경영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공급, 컨설팅 등 중기부의 위기 기업 지원정책과 금융권의 채무조정제도가 연계 지원한다.

아울러 지난 6월부터 운영돼오던 ‘기업 리스크 대응 태스프포스(TF)’를 이달부터 외부 연구기관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3고 복합위기 장기화 대응 TF’로 확대 개편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영 장관은 “민간과 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금융 리스크 대응에 협조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열린 ‘제2차 금융지원위원회’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애로 현황을 논의하고 있다. 2022.11.24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