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컬렉션에 녹인 ‘엄마의 일상’, 그것이 애슐린”

“제 컬렉션에 녹인 ‘엄마의 일상’, 그것이 애슐린”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2-11-30 22:04
수정 2022-12-01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FDF 수상한 박상연 디자이너

론칭 2년… 세계가 주목 브랜드로
“옷장에 오래 머무는 옷 만들고파”

이미지 확대
박상연 디자이너
박상연 디자이너
“제가 ‘엄마’란 사실을 빼곤 ‘애슐린’을 설명할 수 없어요. 이번 컬렉션 부제도 ‘엄마’인걸요.”

패션 브랜드 ‘애슐린’(ASHLYN)의 창립자 박상연(40)이 잠재력 있는 신진 디자이너를 발굴·후원하는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 18회 수상자로 선정됐다.

지난 29일 만난 그는 “디자이너가 아이 엄마라는 사실을 밝히는 게 ‘쿨’하지 못하다는 피드백도 있었지만 제 경험과 생각을 이야기하다 보니 결국 엄마란 단어를 떼어 놓을 수 없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애슐린은 2년 전 그가 코로나19의 여파로 직장에서 ‘해고’당하면서 탄생했다. ‘엄마는 꿈이 뭐냐’는 딸의 질문에 집 지하실에서 패턴을 구상하기 시작한 것이 브랜드의 출발이었다.

실제 그의 옷엔 엄마로서의 ‘미친 일상’이 곳곳에 숨어 있다. 집을 나설 때 엄마의 옷소매를 잡고 늘어지는 아이의 모습이나 바쁜 일상에 옷을 뒤집어 입는 자신에게서 영감을 받는 식이다. 그러나 그의 옷은 우스꽝스럽거나 허술하지 않다. 애슐린은 자투리 없는 재단으로 생산과정의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한편 동양식 기법과 서양식 드레이핑(사람 몸에 직접 천을 대고 재단해 입체적으로 옷 모양을 만드는 일)을 결합해 우아하고 강렬한 여성스러움을 선사한다. 블랙·아이보리·레드에 국한된 색 조합도 애슐린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내는 특징이다.

그의 영어 이름을 딴 애슐린은 현재 전 세계가 가장 주목하는 신진 브랜드 중 하나로 떠올랐다.



“단순히 리사이클링 자재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디자인과 질은 좋게 가져가면서 버려지는 샘플이 없도록 생산과정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 나가는 게 진짜 지속가능한 패션이라고 생각해요. 옷장에서 더 오래 머무는 옷을 만들고 싶어요.”
2022-12-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