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한전채 봇물… 자금경색 재현될까 불안

연초 한전채 봇물… 자금경색 재현될까 불안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3-01-04 20:22
수정 2023-01-05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전채 금리 4.4~4.5% 수준
은행에 5000억 이상 차입 추진
기업·은행 채권 발행도 늘 듯

채권시장 자금을 빨아들여 지난해 자금경색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던 한국전력 채권(한전채)이 새해 초부터 발행 물량을 늘리고 있다. 최근 결정한 전기요금 인상폭으로는 한국전력의 적자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른 기업들도 올해 경기침체에 대비해 유동성 확보를 서두르는 상황이라 자칫 자금경색 상황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전은 5000억원 이상의 자금 조달을 위해 지난해 말 주요 시중 은행들을 대상으로 운영자금 차입 금융기관 선정 제안요청서(RFP)를 배포했다. 6일 진행되는 입찰에서 은행들이 제시한 금리 수준을 확인한 후 최종 차입금액을 확정할 계획이다. 한전은 지난해 한전채와 기업어음(CP), 은행권 대출 등을 합쳐 총 40조원에 이르는 자금을 조달했는데 은행권 차입 비중은 3조원 정도에 불과해 여력이 있는 편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지난해 말 국회에서 한전채 발행 한도를 6배까지 늘리겠다는 법안이 통과되면서 한전채가 올해 또다시 전체 채권시장을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전채는 전날에도 2년 만기로 발행금리 4.4%에 2000억원을, 3년 만기로 금리 4.5%에 3200억원 등 총 5200억원이 발행됐다. 자금시장 상황이 크게 악화됐던 지난해 11월 초 2년 만기 발행금리가 5.99%까지 치솟았던과 비교해서는 크게 하락했지만, 금융당국의 자금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4.15%까지 내려갔던 것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채권의 가치가 떨어지면 가격은 하락하고 채권 금리는 올라간다.

만성적인 적자 상태인 한전은 지난해 적자 해소를 위해 한전채 발행을 늘리면서 자금시장 경색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우량채인 한전채가 채권시장 투자자금을 쓸어 담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해 자금시장 경색으로 채권 발행을 미뤄 왔던 기업들도 최근 적극적으로 회사채 발행에 나서고 있어 회사채 시장 공급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마트와 KT·포스코·LG화학 등 상당수 기업이 이달 중 공모 회사채 발행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초에는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커질뿐더러 올해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채권시장 안정을 위해 발행을 자제했던 시중은행들도 지난달부터 은행채 발행을 재개한 상태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일반 회사채 59조 1000억원 중 14조 7000억원이 1분기에 만기가 도래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공문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당분간은 유동성 경색이 완전히 편안해졌다고 보기 힘든 상황이 지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3-01-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