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터지는 상담 챗봇서 심금 울리는 카피라이터로…현백, AI 카피라이터 ‘루이스’ 정식 도입

속 터지는 상담 챗봇서 심금 울리는 카피라이터로…현백, AI 카피라이터 ‘루이스’ 정식 도입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2-26 18:03
수정 2023-02-26 18: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현대백화점 직원들이 AI 카피라이팅 시스템 ‘루이스’를 활용해 광고 문구를 만들고 있다. 현대백화점 제공
현대백화점 직원들이 AI 카피라이팅 시스템 ‘루이스’를 활용해 광고 문구를 만들고 있다. 현대백화점 제공
“봄과 입학식을 키워드로 향수 광고 문구를 만들어줘.”

“‘향기로 기억되는, 너의 새로운 시작’ 어떤가요?”

26일 현대백화점이 다음달 2일부터 정식 도입하겠다고 밝힌 ‘AI 카피라이터’가 만들어낸 광고 문구다. 대화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정된 질문에 반응하는 ‘고객 응대용 챗봇’에 그쳤던 유통업계 AI 활용도가 마케팅 분야로 확장된 것이다.

루이스는 네이버의 초거대 AI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를 기반으로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 현대IT&E가 직접 개발한 시스템이다. 현대백화점이 최근 3년간 사용한 광고 문구 가운데 고객 호응을 얻었던 데이터 1만여 건을 집중 학습했다. 문학 작품을 사랑하고 마케팅 트렌드에 관심이 많은 20대 청년을 콘셉트로 개발해 감성적이고 창의적인 작문이 가능하다.

루이스 웹사이트에서 브랜드, 주제, 시즌 등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10초 안에 제목과 본문으로 조합된 카피가 추출된다. 연령대를 고려해 어투도 조절할 수 있다. 아트페어 행사의 타깃을 20대로 설정하면 ‘인싸가 되고 싶다면 현백으로 모여라’, 50대로 하면 ‘예술이 흐르는 백화점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로 결과가 달라지는 식이다.

현대백화점이 이달 초부터 2주간 커뮤니케이션팀 등 관련 부서 120여명을 동원해 루이스를 테스트한 결과, 외부 전문 카피라이터와 작업할 때는 통상 2주가량 걸리던 시간이 평균 3~4시간 이내로 줄었다. 회사 관계자는 “회사에 대한 이해도 등 변수가 없어 추가적인 소통을 하지 않아도 루이스가 현대백화점 특유의 감성과 문체를 고려한 최적의 카피를 즉각 생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현대백화점 그룹웨어에 ‘루이스 선임’으로 등록된 카피라이팅 시스템 루이스. 현대백화점 제공
현대백화점 그룹웨어에 ‘루이스 선임’으로 등록된 카피라이팅 시스템 루이스. 현대백화점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