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 국내 첫 양산 돌입

LG화학,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 국내 첫 양산 돌입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6-26 08:35
수정 2023-06-26 08: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달부터 양산, 2027년까지 연산 5만톤 규모로 확대
신학철 “미래 소재 혁신…고객 페인포인트 해결 열쇠”

이미지 확대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한 LG화학 청주공장. LG화학 제공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한 LG화학 청주공장. LG화학 제공
LG화학이 이달부터 청주 양극재 공장에서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단결정) 양극재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LG화학은 2027년까지 단입자 양극재 생산라인을 구미 공장으로 확장, 생산규모를 연 5만톤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단입자 양극재란 니켈·코발트·망간 등 여러 금속을 하나의 입자형상으로 만든 소재로, 수명과 용량이라는 차세대 전지의 핵심 과제를 해결할 열쇠로 꼽힌다. 국내에서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양산하는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기존 양극재는 금속 입자들을 작게 뭉쳐 만든 다입자(다결정) 구조였다. 충전과 방전이 반복될수록 소재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데, 틈에서 가스가 발생하며 전지 수명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단입자 양극재는 기존 양극재 보다 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도 10% 이상 늘어난다. 예를 들어 기존 양극재로 만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가 한번 충전에 500㎞를 간다면, 같은 크기의 단입자 양극재 배터리로는 55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LG화학은 초기 양산에서는 단입자 양극재와 기존 양극재를 2대 8의 비율로 혼합, 생산한 뒤 순차적으로 단입자만 100% 들어간 양극재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적용 제품도 파우치형을 비롯해 4680원통형 배터리(지름 46㎜, 길이 80㎜)등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는 미래 배터리 소재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이자, 고객들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할 열쇠”라며 “전지 소재 기술력과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을 이끌며 글로벌 최대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