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취업 늘어 고용시장 질 저하
취업을 했지만 다른 일자리에서 더 오래 일하고 싶어 사실상 구직 활동을 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불완전 취업자)가 청년층에서 크게 늘었다. 청년 고용률은 양호한 상태에 있지만 실제 청년층의 수요와 고용 현황이 맞지 않는 ‘미스매치’가 발생했다는 또 다른 방증이다.통계청은 지난 6월 15~29세의 청년층에서 실제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고 실제 추가 취업이 가능한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가 13만 7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6월(11만 2000명)과 비교하면 22.3% 급증한 수치로, 지난해 6월 12만명대로 줄었다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지난달 청년 고용률은 47.0%로 역대 6월 중 두 번째로 높았지만 불완전 취업자가 함께 늘어나면서 ‘고용 호조’로 보기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 취업자 수 자체도 8개월째 감소하고 있는 반면 불완전 취업자는 되레 늘어나면서 청년 고용시장의 질이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3-07-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