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박진회 전 씨티은행장, 손병환 전 NH농협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회장, 조준희 전 IBK기업은행장, 조용병 전 신한금융 회장,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
10일 은행연합회 회장후보추천휘원회(회추위)는 이날 회의를 열어 위원별 추천 후보를 논의하고 잠정 후보군 6명을 정했다고 밝혔다. 은행연합회는 다음 주 중 회추위 회의를 열어 후보들을 면밀히 검토·평가한 뒤 최종후보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잠정 후보군에서 눈길을 끄는 점은 민간 출신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임영록 전 회장을 제외한 5명 후보 모두 민간 출신이다. 임 전 회장은 ‘반민반관’ 경력에 해당하는데 행정고시에 20회로 재정경제원 금융정책실 자금시장과장 등을 거쳐 재경부 2차관을 지낸 후 KB금융지주 사내이사 겸 사장, 대표이사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달 20일 임기 만료를 앞둔 윤 회장은 2014년부터 KB금융을 이끌며 회사를 ‘리딩뱅크’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용병 전 회장 또한 비은행 계열사 확대 등을 통해 신한금융의 성장을 이끌었다. 손병환 전 회장은 NH금융의 디지털 전환을 이끈 인물이다. 조준희 전 행장은 기업은행 출신으로 기업은행장을 역임하고 YTN 사장을 지냈다. 박진회 전 행장은 씨티은행의 디지털금융 강화와 모바일 및 인터넷 뱅킹 전략 투자 등 디지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온 인물이다.
은행연합회장은 은행권 수장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8억원에 육박하는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 있어 민관에서 관심이 높은 자리다. 윤석열 정부 들어 처음 나오는 은행연합회장이라 정부와의 소통이 용이한 관료 출신이 될 거란 전망이 있었으나 최근 은행권에 대한 정부의 비판이 커지면서 민간 출신에 대한 선호가 높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2020년 12월 1일 취임한 김광수 현 회장은 이달 30일 3년간의 임기를 마친다. 은행연합회장은 정관상 1차례 연임이 가능하지만 지금까지 정춘택 3~4대 회장만이 연임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