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못 버텨” 98만명 가게 문 닫아

“더이상 못 버텨” 98만명 가게 문 닫아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4-07-16 03:03
수정 2024-07-16 0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폐업 신고자 최대폭 증가
48만명 “사업 부진” 가장 많아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역대 최대폭으로 늘어나면서 연간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을 접고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개인·법인)는 98만 6487명으로 드러났다. 전년(86만 7292명)보다 11만 9195명 증가한 것으로 2006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다. 폐업자는 80만명대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00만명 턱밑까지 수직 상승했다.

‘사업 부진’을 이유로 한 폐업자가 48만 2183명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7년(48만 8792명)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전년(40만 6225명)과 비교하면 7만 5958명(18.7%)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폭 증가다. 업종별로 보면 소매업 폐업이 27만 65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21만 7821명), 음식업(15만 8279명) 등 내수와 직접 연관된 업종의 타격이 컸다.

지난해 폐업률은 9.0%로 2016년 이후 꾸준히 낮아지다 8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폐업률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7년 15.2%를 기록한 뒤 대체로 줄었지만 지난해 폐업자가 가파르게 늘면서 상승세로 돌아섰다. 내수 부진에 벼랑 끝으로 내몰린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위기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자영업자는 올해 1분기 약 2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2분기 10만 1000명 줄며 감소폭이 커졌다. 특히 올해 2분기 고용원 없는 영세 자영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 4100명 줄면서 8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음식·숙박업 등을 중심으로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사업 부진에 따른 폐업 행진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4-07-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