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주가 떨어뜨려 증여세 줄어”
당국 “유상증자 이유 소명하라”
한화 “의도적으로 낮추진 않아”


김승현 한화그룹 회장. 2016.12.6 박지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의 3.6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두고 ‘증여세 절감을 위한 꼼수’라고 지적한 가운데 금융감독원까지 지분 증여가 유상증자의 배경인지 한화그룹에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은 1일 “한화에어로는 다양한 자금 조달 수단 중 유상증자를 선택한 이유, 증자 시점, 자금 사용 목적 등을 충분히 검토했는지에 대한 여부 등을 증권신고서에 충분히 기재해 투자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금의 이동, 사업 승계에 관련된 사안이 증자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정당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했는지를 세세하게 설명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에 유상증자 증권신고서를 정정해 다시 제출하라며 제동을 걸었다.
함 부원장의 발언은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가 증여세 절감을 위한 수단이었다는 일부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 계획이 발표된 지난달 21일 한화의 주가도 12.53% 급락했다. 주주들은 회사에 자금이 충분한데 이해할 수 없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지난해 말 기준 한화에어로의 유동자산은 23조원, 순이익은 1조 380억원에 달한다. 또 유상증자 직전 한화에어로는 1조 3000억원을 들여 한화오션 지분 7.3%를 매입했는데 이 때문에 ‘회사에 있는 돈은 계열사 지분 정리에 쓰고 주주 돈으로 투자하느냐’는 비난 여론도 커졌다.
여기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자신의 지분(22.65%) 중 11.32%를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4.86%), 김동원 사장(3.23%), 김동선 부사장(3.23%)에게 증여하면서 의혹을 키웠다.
유상증자 발표 직전 거래일 종가 4만 7500원을 기준으로 2400억원을 넘었던 증여세는 유상증자 여파로 주가가 급락하며 이날 종가 기준으로 2200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한화그룹 측은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주식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주장은 맞지 않다”고 했다.
2025-04-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