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의 고품질 무한경쟁

이통사의 고품질 무한경쟁

입력 2010-10-27 00:00
업데이트 2010-10-2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 카오톡·스카이프 등 무료 앱문자·음성통화 맞대응

무료로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음성 및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앱)이 널리 이용되면서 이동통신사들이 고민에 빠졌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무료 메시지·음성통화 앱이 인기를 얻자 이통사들이 이에 대항한 서비스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이미지 확대


무료 메시지 앱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카카오톡’은 현재 스마트폰 사용자 중 절반에 가까운 20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80~90바이트(한글 40~45자)로 제한된 단문메시지(SMS)와 달리 카카오톡은 글자 수 제약이 없고 동영상 파일 첨부도 가능해 멀티미디어문자서비스(MMS)까지 대체하고 있다.

인터넷전화 서비스인 ‘스카이프’ 등을 통한 무료 음성통화도 널리 확산될 전망이다. 이달 초 스카이프가 안드로이드용 앱을 내놓으면서 140만명의 갤럭시S 이용자들도 운영체제를 2.2버전(프로요)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스카이프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영상통화 서비스도 마찬가지. 무료 영상통화 기능인 애플의 ‘페이스타임’에 이어 최근엔 망 또는 스마트폰 단말기 구별 없이 무료로 영상통화가 가능한 ‘탱고 비디오 콜’이라는 앱도 이용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수익원이었던 문자, 음성·영상통화 서비스가 점점 앱으로 대체되자 이통사들은 대책 마련에 속을 태우고 있다. 앱을 통해 이뤄지는 서비스를 막기 쉽지 않을뿐더러 막는다 하더라도 고객들의 반발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은 더 나은 품질 또는 일반 휴대전화까지 아우르는 서비스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SK텔레콤은 26일 기존 영상통화보다 화질이 대폭 개선된 고화질(HD) 영상통화 서비스를 출시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3G망과 와이파이망 모두에서 이용할 수 있고 와이파이 환경에서는 페이스타임보다 화질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KT도 최근 카카오톡과 비슷한 ‘쇼톡’ 서비스를 내놓았다. 가입자끼리만 이용 가능한 카카오톡과 달리 쇼톡은 일반 휴대전화에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들이 마냥 무료는 아니다. SK텔레콤의 HD영상통화는 와이파이 환경에서도 음성통화료가 부과된다. KT의 쇼톡도 일반 휴대전화로 보내는 메시지는 건당 요금이 따라붙는다. 이통사들로서는 무료 서비스에 대응하면서도 과금 형태의 수익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각종 무료 서비스 앱과도 무한경쟁에 돌입했다.”면서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내놓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0-27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