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휴대전화보다 2배 높아
스마트폰의 음성통화 실패율이 일반 휴대전화 간 통화 때보다 2배 더 높다는 분석 결과가 제시됐다. 올해 들어 스마트폰 관련 민원 중 전체의 26.7%가 통화 품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종원 의원이 22일 내놓은 통화 실패율 분석 현황에 따르면 스마트폰 간의 실패율은 일반 휴대전화 간의 통화보다 2배가 높았다. 최 의원은 방통위의 원본 데이터를 다시 분석했다. 서울 지역에서 일반 휴대전화 간의 통화 실패율은 0.9%였지만 스마트폰 간의 실패율은 2.2%로 껑충 뛰었다.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는 일반 휴대전화 1.0%, 스마트폰 1.9%, 서울 주요 간선도로의 경우 각각 3.0%, 3.8%의 실패율을 기록했다.
올 들어 6월까지 방통위에 제기된 스마트폰 관련 민원은 712건으로 지난해 연간 581건보다 22.5%가 늘었다. 이 중 통화 품질에 대한 민원이190건으로 10건 중 3건꼴에 이른다.
또 가정이나 회사에서 통화품질 불량으로 중계기 설치를 요청한 현황을 보면 2009년 30만 7351건에서 지난해 39만 1000건으로 크게 늘었고, 올 들어 6월 현재 29만 7842건에 달한다. 이통 3사가 실제로 중계기를 설치한 내역을 보면 가입자가 요청한 현황과 큰 차이가 없다.
스마트폰 통화 실패율이 2배가 높은 데도 통화 성공률은 일반 휴대전화와 큰 차이가 없다는 방통위 결론은 현실과 정반대인 셈이다. 최 의원은 “이동통신의 중계기 설치 요청이 크게 늘고 있다는 건 사용자들이 통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국내 스마트폰 통화 성공률이 97.6%로 양호하다는 방통위의 판정은 스마트폰 전체의 통화 품질로 볼 수 없는 만큼 재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9-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