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평판TV 판매량 15% 확대” LG “두자릿수 매출 성장률 자신”

삼성 “평판TV 판매량 15% 확대” LG “두자릿수 매출 성장률 자신”

입력 2012-01-13 00:00
수정 2012-01-13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사 수장들 새해 각오 다져

세계 최대의 가전 전시회인 ‘국제전자제품전시회(CES) 201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수장들이 새해 각오를 다졌다.

이미지 확대
이건희 삼성 회장의 차녀인 이서현(왼쪽 사진 오른쪽) 제일모직·제일기획 부사장이 11일 오전 (현지시간) 윤부근(왼쪽) 삼성전자 가전제품(CE) 담당 사장과 함께 ‘CES 2012’의 삼성전자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건희 삼성 회장의 차녀인 이서현(왼쪽 사진 오른쪽) 제일모직·제일기획 부사장이 11일 오전 (현지시간) 윤부근(왼쪽) 삼성전자 가전제품(CE) 담당 사장과 함께 ‘CES 2012’의 삼성전자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 확대
11일 오전 (현지시간) 가수 김장훈(오른쪽 사진)이 ‘CES 2012’ LG전자 부스에서 세계 최소 두께인 1㎜베젤 ‘시네마 스크린’ 디자인의 3DTV 신제품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오전 (현지시간) 가수 김장훈(오른쪽 사진)이 ‘CES 2012’ LG전자 부스에서 세계 최소 두께인 1㎜베젤 ‘시네마 스크린’ 디자인의 3DTV 신제품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담당 사장은 11일(현지시간)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는 평판TV 판매량에서 15%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경쟁 업체와의 격차를 확실히 벌리는 ‘초격차 전략’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액정표시장치(LCD)TV와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TV를 합한 평판TV 판매량이 4300만대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윤 사장은 초격차 전략에 대해 “32인치 이하, 32~50인치 이하, 50인치 이상 등 크기별 분류는 물론이고 스마트TV, 3차원(3D) 입체영상TV 등 모든 제품군에서 격차를 더 벌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전날 권희원 LG전자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본부 사장이 “올해 3DTV 시장에서 1등을 하겠다.”고 밝힌 데 대한 응답이기도 했다. 이를 반영하듯 그는 LG전자에 대해서도 “경쟁 업체가 아니다.”라면서 “(자신들과) 비교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신문범 LG전자 홈어플라이언스(HA)사업본부 부사장도 포시즌호텔에서 간담회를 열어 올해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자신했다. 신 부사장은 “올해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경기 상황, 원재료 가격 등 불안 요소가 있지만 매년 10% 이상씩 성장해 2014년 매출 20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수익성 중심 경영으로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양대 가전인 냉장고와 세탁기 사업은 기술적 우위를 강화한 스마트 가전 중심으로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그는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는 초대형·고효율의 프리미엄 제품을 가져가고, 성장 시장에서는 시장별 맞춤 전략을 통한 시장점유율과 매출 확대를 동시에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1-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