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대표 “콘텐츠 제공 방법 고민”
“PC 대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비율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우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젠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가 사용자들의 이용 시간을 압도적으로 점유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시대에 맞춰 새로운 도전과 시험이 필요한 때입니다.”

이석우 카카오 대표
카카오는 최근 뱅크월렛 카카오 등 금융 서비스, 뉴스 매거진 서비스 등 신규 서비스를 잇달아 발표하며 다음카카오 시대의 밑그림을 예고했다. 회사는 탄탄한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 경쟁력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생활정보 플랫폼’을 지향한다. 이 대표는 “뉴스매거진 서비스, 콜택시 사업 등 모바일 시대에 적합한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다음이 지닌 검색, 인재, 서비스 등 다양한 콘텐츠가 서비스의 질을 한층 끌어올려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라인과의 경쟁에 대해서는 “모바일 시대에는 소수의 인원과 아이디어만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기회가 많다”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미래에 카카오를 위협할지도 모를 전혀 새로운 사업을 준비 중인 알려지지 않은 사업자들이 가장 두려운 경쟁자”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다음달 뱅크월렛 카카오, 카카오 간편결제 등 금융 서비스 출시에 이어 별도의 팀을 꾸리고 뉴스 매거진 서비스, 콜택시 사업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새롭게 출범할 다음카카오가 인터넷 포털 시장은 물론 앞으로 열릴 모바일 시대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음과 카카오는 27일 제주 사옥과 분당 본사에서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연다. 주총에서 합병 계약이 승인을 받게 되면 두 회사는 10월 1일 정식으로 한 식구가 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8-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