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농부가 되다] 개인용 PC 보급됐듯 가격 단가만 낮추면 스마트팜 세계화될 것

[ICT, 농부가 되다] 개인용 PC 보급됐듯 가격 단가만 낮추면 스마트팜 세계화될 것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16-09-21 22:50
업데이트 2016-09-2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라이 무로타 다쓰오 사장

지바현 가시와시의 미라이 공장에서 지난달 8일 만난 무로타 다쓰오(41) 사장은 스마트팜(식물공장)의 미래에 대해 “개인용 컴퓨터가 초창기 비싼 가격이었지만 결국 전 세계에 보급됐듯 스마트팜도 언젠가는 전 세계로 확장되는 세계적인 흐름이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미지 확대
미라이 무로타 다쓰오 사장
미라이 무로타 다쓰오 사장
그는 “컴퓨터가 1000만원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1990년대 들어 개인 PC 보급이 늘면서 가격이 내려갔다”며 “스마트팜 역시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된 것은 아니지만 돌파구가 마련되면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무로타 사장은 스마트팜에서 재배 가능한 식물이 양상추 등 일부 엽채류에 국한돼 있지만 기술 발전이 이어져 보급이 확대될 경우 엽채류는 물론이고 토마토와 같은 과채류, 근채류 등 다양한 작물의 생산이 가능한 시대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같은 한대 지역의 경우 채소 생산이 여의치 않은데 스마트팜 보급이 확대되면 자체적으로 채소를 재배하고 생산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로타 사장은 “농업은 2·3차 산업에 비해 이익을 내는 것이 어렵다”며 “그렇지만 발상을 전환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농업이고 스마트팜”이라고 강조했다. 정보기술(IT) 산업도 처음에는 젊은이가 몰리지 않았지만 돈벌이가 된다는 의식이 생겨나면서 인재가 몰려들었듯이 스마트팜 역시 언젠가는 인재가 모일 거라는 것이다.

그는 스마트팜이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우선 규격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로타 사장은 “이곳은 공장지대로 식물을 생산하고 있지만 정작 생산물은 법적으로 공산품으로 취급된다”면서 “스마트팜이 좀 더 산업으로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일본 내 법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양상추 재배를 위해 전기료와 인건비를 더 줄여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발광다이오드(LED) 기술 발달로 전기료가 지금보다 더 줄어든다면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무로타 사장은 “하드웨어 관련 규격을 통일해 단가를 낮춘다면 스마트팜은 성공할 수 있는 산업”이라면서 “젊은이가 참여하고 싶은 분야로 만드는 것이 나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가시와(지바현)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6-09-22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