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잡으려다 개인정보 털릴 수도

포켓몬 잡으려다 개인정보 털릴 수도

이혜리 기자
입력 2017-02-07 14:34
수정 2017-02-07 14: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포켓몬고 유저 몰리는 경복궁
포켓몬고 유저 몰리는 경복궁 5일 서울 경복궁을 찾은 시민들이 빗속에서 모바일게임 포켓몬고를 즐기고 있다. 경복궁에 게임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포켓스톱과 희귀 몬스터가 많다고 입소문이 나면서 게임을 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 고’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개인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등 사이버범죄 우려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포켓몬 고 한국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게임 정보 공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조작 등 게임 진행을 도와주는 ‘보조 앱(애플리케이션)’도 덩달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찰은 “이들 앱 가운데는 불필요하게 많은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가 있어 불법 유통 등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다”면서 “해당 앱의 목적·기능과 관계없이 수집된 개인정보는 불법 유통 등으로 악용될 수 있으니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할 때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포켓몬 고 열풍을 틈탄 악성코드 유포나 사기, 해킹 등도 우려된다.

경찰에 따르면 포켓몬 고를 PC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해 별도 조작 없이 포켓몬을 자동 사냥해주는 ‘오토봇’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구글 계정 암호를 평문으로 수집하는 기능이 발견됐다.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 등에는 포켓몬 고 계정이나 희귀한 포켓몬, 오토봇 프로그램 등을 판매한다는 글이 속속 올라오는 상황이다. 아이템 수집이나 레벨업을 대신해주겠다며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경찰은 이런 게시물이 사기로 이어질 우려가 크고, 검증되지 않은 오토봇 프로그램 등에는 악성코드가 탑재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