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기업들은 ‘비싼 몸’ 개발자 모시기 경쟁중

25일 업계에 따르면 상당수 언택트 기업들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예년 대비 규모를 대폭 늘리거나 적어도 평년 수준으로 하반기 개발자 채용을 진행 중이다.
다음달 7일까지 하반기 신입 개발자 지원 접수를 받는 카카오는 올해 하반기 신입 공채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세 자릿수의 인원을 선발한다. 업계에서는 100~150명 수준으로 추측한다. NHN도 올 추석 이전에 서류 접수를 시작할 예정인 하반기 신입 개발자 공채를 지난해의 2~3배 규모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9월 첫째주에 지원서 접수를 받는 네이버는 지난해와 비슷한 200여명 수준으로 하반기 개발자 공채를 진행한다. 네이버의 계열사인 라인플러스도 예년과 비슷하게 두 자릿수 규모로 뽑을 예정이다.
그동안 수시채용을 진행하던 곳이 올해 갑자기 공채를 신설한 것도 특징이다. NHN은 지난 5월 게임 부문 신입 사원 공채인 ‘게임 체인저 1기’를 신설하고 정기적으로 개발자를 뽑겠다고 밝혔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경력 3년 차 이하 개발자 공채를 진행 중인데 20명을 뽑는 전형에 5000여명이 몰렸다. 온라인 쇼핑업체 ‘쿠팡’도 수년간 진행하지 않던 개발 직군 공채 전형을 현재 진행 중이다.

카카오게임즈 신규 사원 ‘웰컴 키트’
카카오게임즈 제공
토스는 이전 직장의 최대 ‘연봉 1.5배’를 제안하고 이와는 별도로 1억원 상당의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또는 입사축하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넥슨의 자회사인 게임업체 ‘네오플’은 본사 소재지가 제주도임을 고려해 신규 직원 중 타지에서 온 기혼자에게 105㎡(약 32평), 미혼자에게는 89㎡(약 27평) 규모의 아파트를 사택으로 준다. 카카오는 계열사에 따라 고급 택시인 ‘카카오 블랙’을 집으로 보내 첫 출근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사무 용품을 담은 ‘웰컴 키트’도 선물로 제공한다.
업계 관계자는 “언택트 기업은 공장 설비를 키우기보단 훌륭한 개발자를 모셔오는 것이 미래 투자의 핵심인 만큼 인재 모시기 경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다만 덩치가 큰 기업들이 인재를 ‘입도선매’하면 작은 스타트업의 인재난은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