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진 패밀리’가 이끄는 엔씨…연매출 ‘2조원 시대’ 눈 앞

‘김택진 패밀리’가 이끄는 엔씨…연매출 ‘2조원 시대’ 눈 앞

한재희 기자
입력 2020-11-16 18:01
수정 2020-11-16 18: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분기 실적 발표한 엔씨소프트

이미지 확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합뉴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합뉴스
‘김택진 패밀리’가 이끄는 엔씨소프트의 실적이 고공 행진을 벌이고 있다. 3분기 빼어난 성적표를 앞세워 연간 매출 사상 첫 ‘2조 클럽’ 가입이 유력하고, 영업이익 1조원 시대도 넘보고 있다. 김택진 엔씨 대표의 부인(윤송이 사장)과 친동생(김택헌 수석부사장)이 모두 회사의 중추적 역할 맡고 있어 ‘패밀리 경영’에 대한 비판이 나오기도 했지만 실력으로 우려를 날려 보내고 있다.

엔씨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5852억원, 영업이익 2177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47%, 영업이익은 69% 증가했다. 올 1~3분기 누적 매출은 1조 8548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매출인 1조 7012억원을 훌쩍 넘겼다. 업계에서는 엔씨가 올해 연매출 2조 4000억원대를 기록하며 창사 첫 2조원 돌파에 성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CSO·최고전략책임자)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CSO·최고전략책임자)
그동안 엔씨의 ‘패밀리 경영’은 주로 위험요소로 지적됐다. 2015년에는 당시 부사장이었던 윤 사장의 승진을 놓고 최대주주였던 김정주 NXC 대표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김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저도 가족 경영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다”면서도 “과실만 따먹으려 하는 가족 경영과 (현재 엔씨의 방식은) 다른 것이라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올해는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김택진 패밀리’의 사내 영향력이 공고해지는 모양새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 1월 김 수석부사장의 승진이다. 윤 사장이 승진할 때 홍역을 치른 이후 5년여간 수석부사장 자리는 공석이었는데 이것이 다시 김 대표 친동생에게 돌아간 것이다. 김 부사장은 엔씨의 대표 지식재산권(IP)인 리니지를 모바일에 안착시키는 일을 주도했는데 지난해 11월 엔씨가 2년여 만에 내놓은 리니지2M이 흥행에 크게 성공하자 이를 근거로 인사를 단행했다. 올해 3분기 모바일게임은 3896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의 67%를 차지했다. 특히 리니지M은 3주년 이벤트 덕분에 2018년 1분기 이후 최고 매출인 2452억원을 벌어들이며 고공 행진에 앞장섰다.
이미지 확대
김택헌 엔씨소프트 수석부사장(CPO·최고퍼블리싱책임자)
김택헌 엔씨소프트 수석부사장(CPO·최고퍼블리싱책임자)
엔씨는 또 올해 김 부사장을 엔터테인먼트 자회사인 ‘클렙’의 대표로 내세우고, 윤 사장이 주도해 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KB증권과 간편투자 증권사 출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북미 법인 대표인 윤 사장과 일본 법인 대표를 맡은 김 부사장이 82%에 달하는 엔씨 국내 매출 비중을 낮추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