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오픈런’이어 이번엔 디올…2일 가격인상

샤넬 ‘오픈런’이어 이번엔 디올…2일 가격인상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7-02 06:56
수정 2020-07-02 06: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품 브랜드, 코로나19에 따른 보복소비 심리에 줄줄이 가격 올려

13일 오전 서울의 한 백화점 명품관 샤넬 매장을 찾은 시민들이 길게 줄 서 기다고 있다. 뉴스1
13일 오전 서울의 한 백화점 명품관 샤넬 매장을 찾은 시민들이 길게 줄 서 기다고 있다. 뉴스1
프랑스 명품 브랜드인 크리스챤 디올이 2일부터 주요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다.

디올은 이날부터 레이디디올백 등 주요 인기 상품 가격을 10~12%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디올의 가격 인상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지난해 10월 일부 제품 가격을 10%가량 올린 바 있다.

이번 가격 인상은 디올이 속한 프랑스 패션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본사 정책으로, 한국을 포함해 캐나다 등에서 가격이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양가죽 레이디디올백 등 스테디셀러 제품 가격이 40만~60만원가량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샤넬은 지난 5월 중순 주요 제품 가격을 20% 가까이 인상했다. 이 때문에 인상 전 제품을 사려는 고객들이 백화점 문이 열리자마자 달려가는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샤넬 외에도 루이뷔통, 구찌, 프라다, 티파니앤코 등 인기 명품 브랜드가 올해 상반기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 1일에는 보석 브랜드 불가리가 예비 부부들에게 인기 있는 ‘비제로원’ 라인을 포함한 제품 가격을 지난 4월에 이어 10% 올렸다.

업계는 최근 가격을 올린 디올과 불가리가 LVMH그룹에 속한 것을 고려할 때 LVMH 대표 브랜드인 루이뷔통도 곧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에르메스도 이달 중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명품 브랜드들이 줄줄이 가격을 인상하는 이유로 보복소비가 꼽힌다. 실제로 아울렛 등에서 명품 매장은 주말에는 긴 줄이 형성돼 ‘1시간 줄서고, 10분 구경’하는 일이 이어지고 있다.

디올은 지난해 4번이나 가격을 올렸지만 디올의 한국법인인 크리스찬디올꾸뛰르코리아는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93% 늘었고, 영업이익은 108억원에서 442억원으로 급증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