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압구정 1호점 파파이스 철수설 부인, “매각추진중”

1994년 압구정 1호점 파파이스 철수설 부인, “매각추진중”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09-12 13:30
수정 2020-09-12 1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터넷상에서 화제를 모은 파파이스 철수 안내.
인터넷상에서 화제를 모은 파파이스 철수 안내.
파파이스가 매각에 난항을 겪으며 철수설까지 돌고 있지만 본사 측은 일부 매장에 한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파파이스를 운영하는 TS푸드앤시스템을 계열사로 둔 대한제당 관계자는 12일 “일부는 접는 곳도 있겠지만, 모든 매장이 문을 닫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계속 매각을 추진한다는 것 외에는 설명드릴 것이 없다”고 말했다.

매각이 난항을 겪는 상황에 대해서는 “매각이 안되면 그 후에 어떻게 될지는 봐야 알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파이스는 지난 1994년 압구정 1호점을 시작으로 국내에 진출해 ‘케이준후라이’ 등 특색 있는 메뉴를 앞세워 한 때 200개가 넘는 점포 수를 자랑했다.

그러나 이후 외식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매출이 하락하면서 사세가 크게 줄어들어 현재는 매장 수가 수십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TS푸드앤시스템이 설립했다가 분리 독립한 ‘맘스터치’가 승승장구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TS푸드시스템은 2018년 40%대 자본잠식률을 기록했고, 지난해엔 완전자본잠식상태에 빠졌다.

2년 전부터 국내 한 회계법인을 통해 매각을 추진해왔지만, 지금까지 성사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