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체질개선, 롯데마트 구조조정…유통 빅2 코로나 악재 딛고 부활할까

이마트 체질개선, 롯데마트 구조조정…유통 빅2 코로나 악재 딛고 부활할까

심현희 기자
입력 2020-11-15 16:54
수정 2020-11-15 16: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마트, 롯데마트 등 국내 대형마트들이 코로나 악재를 딛고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조조정, 매장 체질 개선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이들의 몸부림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롯데마트의 올 3분기 수익성이 나란히 개선됐다. 롯데마트는 매출이 1조 5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2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0.5% 증가했다. 이마트 매출은 전년 대비 9.7% 늘어난 3조 8598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1401억원으로 전년 대비 11.15% 올랐다. 영업이익이 신장세로 돌아선 건 2017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식료품 수요가 증가했고, 사상 처음으로 비대면 명절을 보냈던 추석 때 선물세트도 잘 팔리면서 오프라인 매장 매출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업계는 최근 수년간 쿠팡, 마켓컬리 등 이커머스 성장세에 밀려났던 오프라인 마트가 언택트 소비가 일상화된 코로나 시대에 성장을 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향후 오프라인 마트가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줬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의 체질 개선 전략이 효과를 봤다. 이커머스에 비해 경쟁력을 가진 신선식품을 강화했고, 고객의 매장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해 체험 공간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맞춤형 매장으로의 변신을 꾀했다. 3분기에 문을 연 신촌점은 1~2인 가구가 많은 상권인 점을 겨냥해 소량 제품 위주로 매대를 채웠다.

롯데마트는 구조조정을 통해 수익성 반등에 성공했다. 올해만 천안·의정부·VIC킨텍스, 서현·금정·마장휴게소 등 8개점을 폐점했고 전체 매장의 30%인 채산성이 낮은 점포 200곳을 3~5년 내 정리한다.

공통적으로는 온·오프라인 통합에 집중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점포의 일부 공간을 온라인 주문 배송을 위한 박스 포장(패킹)용 물류 시설로 전환 중이며, 이마트는 최근 인사에서 강희석 대표가 SSG닷컴 대표에도 선임되면서 통합 경영을 하고 있다. 다만 업계 관계자는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담당 등 채널별로 MD들이 따로따로 움직이는 등 조직이 일원화되지 않아 진정한 온·오프 통합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