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탓” 송파 7·24대책 수혜 못 봤다

“싱크홀 탓” 송파 7·24대책 수혜 못 봤다

입력 2014-08-25 00:00
수정 2014-08-25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남권 아파트 매매가 상승속 송파구만 뒷걸음질 쳐 대조적

“강남, 서초는 집값이 오른다는데 여기는 싱크홀 때문에 집값이 오르지도 않고 내리지도 않고 정체예요.” (서울 송파구 잠실동 A중개사)

“싱크홀 때문에 지하철 공사 주변 아파트에 대한 문의가 많이 줄었습니다.” (서울 송파구 석촌동 및 방이동 중개사)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7·24 부동산 대책’이 나온 이후 한 달간 가장 많은 수혜를 본 지역은 서울 강남권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남 3구’ 중 유일하게 송파구는 땅이 내려앉는 ‘싱크홀’ 악재 탓에 집값이 뒷걸음질쳐 대조를 이뤘다.

24일 부동산114가 조사한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 후 한 달간 서울 아파트값은 0.17%, 경기는 0.08%, 인천은 0.12%(수도권 전체 평균 0.13%)가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 상승률은 6억원 초과 아파트와 재건축 아파트들이 많은 서초구(0.51%), 강남구(0.38%), 강동구(0.36%) 등 범 강남권 아파트들이 수도권 전체 시·구를 통틀어 상위 1~3위권을 싹쓸이했다.

반면 ‘강남 3구’의 한 축인 송파구의 상승률은 0.13%로 서울 전체 평균(0.17%)에도 못 미쳤다. 실제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최근 두 달간 6차례나 싱크홀이 발생했던 송파구는 부동산 대책 이후 실거래가가 오히려 떨어졌다. 잠실 리센츠의 경우 전용면적 59.9㎡형이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1000만원가량 내려갔고, 잠실 엘스 84.8㎡형 역시 같은 층수가 한 달 만에 3000만원 떨어졌다. 잠실 트리지움도 평형 상관없이 매매가격이 1000만원가량 하향조정됐다. 올림픽선수기자촌 83.6㎡형도 6000만원가량 빠졌다.

부동산114리서치센터는 “송파구는 이번주 매수세가 주춤해지면서 잠실동 주공5단지 119㎡가 2000만원 내렸다”고 전했다. 일부 재건축 단지가 규제 완화의 기대감으로 3000만∼4000만원가량 오른 곳도 있지만 싱크홀에 대한 우려로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남산시민대학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맨발걷기대회 주최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9일 용산구 용산가족공원 내 잔디마당 및 맨발걷기 건강길에서 개최된 남산시민대학 수강생 맨발걷기대회에 참석, 100여명의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2km를 걸으며 행복과 건강한 삶을 실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김 의원이 주최하고 남산시민대학, 맨발걷기국민운동본부, 하이컨디션국민운동본부가 공동 주관했으며, 김 의원을 비롯해 용산구의회 김성철 의장, 이미재 구의원, 맨발걷기국민운동본부 박동창 회장, 명영호 용산구지회장과 회원, 하이컨디션국민운동본부 황설 총재, 국민댄조(댄스와 체조) 강사, 남산시민대학 권정남 행정실장과 어르신 수강생 등 약 13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총 3부로 진행되었는데, 1부에서는 박동창 회장이 일상에서맨발걷기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올바른 걷기 자세 7가지를 소개하며 참가자들과 함께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고, 2부에서는 황설 총재와 강사들의 지도로 국민댄조를 즐겼다. 3부에서는 김 의원과 참석자 전원이 ‘맨발걷기 건강길’을 함께 걸으며 1km 구간을 왕복하여 총 2km를 완주한 뒤 행사를 마무리했다. 특히 이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남산시민대학 어르신 수강생과 함께 맨발걷기대회 주최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4-08-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